14일 공항안전 불법드론 감시단 발대식
퇴직경찰관, 소방관 등 전문 경력자로 구성
[세종=뉴스핌] 이유나 기자 = 퇴직 경찰관과 소방관, 항공 전문가 등 시니어들로 구성된 '공항안전 불법드론 감시단'이 제주공항에서 공식 활동을 시작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14일 제주공항운영센터 대회의실에서 제주특별자치도와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 (사)느영나영복지공동체, 노인일자리 참여자와 함께 노인일자리 특화사업으로 추진하는 불법드론 감시단 발대식을 개최했다.
이 사업은 제주국제공항 주변 드론 비행금지 구역 내 잦은 불법 비행이 발생했던 장소에 시니어 순찰 인력을 배치하는 내용이다. 퇴직 경찰관, 소방관 등 전문 경력자로 구성된 총 16명의 감시단은 드론 식별 등 제주 공항 주변 드론 비행금지 구역을 실시간 감시한다.
![]() |
'공항안전 불법드론 감시단' 발대식이 14일 제주공항운영센터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사진=노인인력개발원] |
불법 드론 발견 시에는 사진 촬영, 위치정보 전송 등 관련 앱을 통해 즉시 경찰에 신고해 드론의 정확한 위치와 이동 경로를 안내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공항안전 불법드론 감시단'은 불법 드론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자 추진됐다. 지난해 제주국제공항에서 발생한 불법 드론 비행 탐지 건은 총 165건이다. 이는 전국 공항 중에서도 상위 수준의 빈도에 해당한다.
특히, 제주국제공항 주변은 관광명소와 개활지가 밀집해 있어 드론 탐지 및 대응에 취약한 구조다. 지역 기반 순찰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해당 사업은 5개월간 시범 운영한 후 전국으로 확대를 검토할 예정이다.
본 사업에는 8000여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노인인력개발원은 지난달 17일 업무협약을 체결해 각각 5200여만원, 2800여만원을 부담하기로 했다.
제주특별자치도 노인복지과는 사업비 지원과 홍보 등을 맡는다. 노인인력개발원 제주지역본부는 사업 총괄 운영 및 관리, 사업비 지원 및 평가 등을 담당한다.
공항공사 제주공항은 직무교육과 활동장소 지정, 사업홍보를, 느영나영복지공동체는 참여자 모집·선발·활동 관리, 전용 앱 개발 및 관리 운영 등을 수행한다.
신희균 노인인력개발원 제주지역본부장은 "2022년부터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다양한 노인일자리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공항안전 불법드론 감시단' 사업을 통해 공공안전에 기여하는 노인일자리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yuna74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