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주권 수호와 지역경제 활성화의 새 지평 예고
인구소멸대응 및 인구 10만 회복
[동해=뉴스핌] 이형섭 기자 = 동해지방해양경찰청과 해군 제1함대사령부가 주도하는 '스마트정비지원센터' 설립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동해항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민·관·군 연합의 정비지원을 통해 국익 수호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전망이다.
![]() |
김성종 동해해경청장과 곽광섭 해군1함대 사령관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해경 3018함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동해지방해양경찰청] 2025.05.01 onemoregive@newspim.com |
정비 시설의 부재는 오래전부터 동해권의 골칫거리였다. 부산정비창 및 진해정비창 등 현재 운영 중인 국내 주요 정비시설들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동해권에는 중대형 선박 정비가 가능한 시설이 전무했다.
지난 1994년 신설된 해양경찰 소속 부산 정비창의 경우 노후화로 설계용량 기준을 하향해 운영 중이며 해군 진해 정비창 역시 2026년이면 해군 자체 수요만으로도 포화 상태가 될 전망이다.
동해권 함정이 수리를 위해서는 올해 완공되는 서부정비창이 유일한 대안이나 동해에서 전남 목포로 이동시 27시간이라는 긴 시간과 유류 소모는 물론 치안공백이 발생해 경비 임무의 차질이 불가피하다.
또 전시 등 비상상황에서 동해권 군경함정이 수리를 위해 이동 중 피폭 우려 등 대응체계 마비로 이어져 국익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
김성종 동해해경청장과 곽광섭 해군1함대 사령관이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동해지방해양경찰청] 2025.05.02 onemoregive@newspim.com |
스마트정비지원센터는 이 문제를 해결하며 동해항을 새로운 해양 전략 거점으로 발전시키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동해항 스마트정비지원센터는 1만t에서 1만5000t급 건조 시설을 포함한 중·대형 선박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해양수산부 및 다양한 정부기관의 선박들이 정비 시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 센터에는 신속한 정비 지원을 위한 인력이 배치될 예정인데, 이는 곧 지역민을 위한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다. 북평공단 내 관련 업체의 유입으로 공단의 활성화 역시 꾀할 수 있다.
또한 인구소멸대응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정비지원센터 설치시 전문인력 유입은 물론 지역내 관련 업체가 유입되면서 공단 활성화와 함께 지역인구 증가로 이어져 인구 10만명 회복이 그려지고 있다.
이번 정비창 설치는 단순한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를 넘어 국가 안보 차원에서도 필수적인 선택으로, 향후 동해항 및 더 나아가 동해안 전체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
동해항 스마트정비지원센터 건립 예정부지.[사진=동해지방해양경찰청] 2025.05.02 onemoregive@newspim.com |
센터의 설립 이후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여파는 곧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지리라 기대된다. 동해권역 스마트정비지원센터는 동해구항 북부두 항만부지 12만8000㎡(3만8720평)에 들어설 예정이다.
김성종 동해지방해양경찰청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동해안 지역이 대형 정부 선박 정비 인프라를 갖춤으로써 해양주권 수호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면서,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곽광섭 해군 제1함대사령관 또한 "동해의 위협이 다양화됨에 따라 지속적인 전투력 확보가 필요하다"며, "스마트정비지원센터가 설치되면 중대형함의 이동 소요가 줄어들어 작전적 효율성과 정부 예산 절감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onemoregiv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