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국내 출판 관련 7개 단체가 사유화 논란을 빚고 있는 서울국제도서전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연대 성명을 냈다.
한국출판인회의, 문화연대, 블랙리스트 이후, 어린이청소년책작가연대, 전국동네책방네트워크, 책읽는사회문화재단, 한국작가회의 등 문화연대 7개 단체는 30일 연대 성명을 통해 "기존 주관 단체인 대한출판문화협회 외에도 출판계의 다양한 단체와 작가 단체, 서점 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공적 논의기구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근 국제도서전을 둘러싸고 '사유화 반대'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이런 논란을 우리 출판계와 문화계 전체에 큰 고민을 안겨주고 있으며, 이것을 출판계의 '내홍'으로 보여지고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다"라며 "문제는 도서생태계 구성원 사이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도서전에 예산 지원을 빌미로 정부가 주도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는 문체부의 그릇된 인식과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공론화 과정 없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 도서전 운영 방식을 채택한 것에 있다"고 지적했다.
![]() |
지난해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서울국제도서전' [사진=뉴스핌DB] |
이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서전에 대한 정부의 인식 변화와 함께 향후 도서전 운영에 있어 도서 생태계 구성원들의 의견이 골고루 반영될 수 있는 투명한 절차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금은 서울국제도서전을 사랑하고 키워왔던 더 많은 주체들이 함께 논의에 참여하여, 그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를 함께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단계를 만들어갈 때입니다. 특히 작가, 서점, 독자들까지 이 문제에 깊이 공감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모두가 함께할 수 있는 논의 구조를 만드는 결정적 계기가 되어야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는 공적 논의기구 구성, 지분 구조 및 법인 형태 근본적인 재검토, 지속가능한 공적 지원의 확대를 대한출판문화협회(출협)와 출판계가 함께 논의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서울국제도서전은 한 사람의 것이 아니라, 출판인·작가·서점인·독자 모두가 함께 만들어온 문화적 자산"이라며 "그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모두가 주인이 될 수 있는 공공적 틀 안에서 도서전의 미래를 함께 설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많은 시간이 주어지지 않은 관계로 일주일 이내 의견을 모아 6월의 서울국제도서전 개최 이전에 논의기구를 출범시켜,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다 함께 노력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출협이 주최하는 서울국제도서전은 지난해부터 문체부로부터 직접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출협은 서울국제도서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자본금 10억원을 투자, 국제도서전을 주식회사로 전환했다. 이 과정에서 주주명부 공개, 공청회 등 투명한 절차가 지켜지지 않았고, 몇몇 법인과 개인이 지분을 독점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현재 노원문고와 사회평론, 출협이 10억원 중 각 30%의 지분을 소유 중이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