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传递友谊星火,浇灌希望之花--"2023韩国小记者中国行"侧记

기사입력 : 2023년08월31일 10:52

최종수정 : 2023년08월31일 10:52

纽斯频通讯社首尔8月31日电 "从此,中国对我而言不再是两个字符,而是一张张可爱的笑脸、一幅幅美丽的画卷。"站在成都天府机场国际出发口的韩国高中生崔嘏民如是说。

8月8日至15日,22名韩国优秀中学生在中国驻韩国大使馆的精心组织下,先后访问北京、成都,贴近中韩合作一线,感受中华五千年文明的深厚底蕴与中国式现代化的勃勃生机,同中国青少年共同谱写了一曲跨越国界的友谊之歌。

【图片=中国驻韩国大使馆提供】

◆走进中国外交部,共叙中韩友好情

当大巴驶入位于北京市朝阳门南大街2号的中国外交部时,小记者们不约而同屏住呼吸,好奇又欣喜地打量着车窗外庄严的楼宇、站岗的军人以及飘扬的五星红旗。外交部亚洲司副司长陈少春在橄榄厅会议室亲切接见小记者们,深情回顾了与韩国的美好缘分和情谊,勉励小记者们以此次中国行为新起点,争做两国友谊的传承者,努力谱写中韩青少年友好的崭新篇章。

【图片=中国驻韩国大使馆提供】

随后,大家围绕中韩关系与未来期许等话题畅谈感想,快乐的笑声和掌声不时响起。韩国高中生申鈗雅用流利的中文说道:"我将把此次中国行的所见所闻一五一十地讲给我的家人和朋友,帮助他们认识到一个真实而生动的中国。"

◆参访国家博物馆,追寻中国复兴路

小记者们在京还参观了中国国家博物馆《复兴之路》大型主题展览。展览真实再现了自鸦片战争以来,中国人民在屈辱和苦难中奋起抗争、上下求索,特别是在中国共产党领导下从实现民族独立、人民解放到走向国家富强、人民幸福的奋斗历程。

【图片=中国驻韩国大使馆提供】

一幕幕历史被重新聚焦并展现,小记者们被大量珍贵的历史资料和文物内容深深吸引,用眼睛体会着历史走过的痕迹,用心灵感受着中国的沧桑巨变。"看着饱受欺凌、生灵涂炭的中国逐渐实现腾飞,我不禁想到了自己的祖国,原来韩中都曾有过如此惨痛的历史回忆。"当晚,小记者们纷纷在社交媒体上写下对中国复兴之路的深刻认知和情感共鸣。

◆中韩学生手牵手,共驻友谊新桥梁

小记者们作别北京,飞往"魅力之都"成都。大运会点燃的体育热情,似乎还流淌在这座城市间。在这里,小记者们同成都双流中学、双庆中学生友好交流、增进友谊。当《茉莉花》、《春江花月夜》、古琴、书法碰撞到韩国流行音乐、舞蹈时,笑声与欢呼声在空气中交融,创造出一曲和谐的乐章。

【图片=中国驻韩国大使馆提供】

表演结束后,中韩青少年互换礼物、互留联系方式并合影留念,久久不愿分别。"我们特意把这首《茉莉花》送给韩国的哥哥姐姐们,这是我们对他们最亲切纯洁质朴的祝福""韩国的哥哥姐姐们真的太可爱了",成都中学生纷纷激动地说道。返程路上,小记者们边欣赏着合影,边兴奋地表示自己也有中国朋友啦!中韩青少年以开放的心胸相互倾听,以温暖的情感相互交流,共同绘制了一幅缤纷多彩的友谊画卷。

从触摸古老紫禁城的呼吸脉搏,聆听慕田峪长城的历史回响,学习千年都江堰水利工程的伟大智慧,到观赏中国曲艺、戏剧的独特魅力,亲历成都春熙路商圈的熙攘繁华,记录国宝大熊猫的憨厚可爱,小记者们在华期间切身感受着古老与现代在中国交织出的和谐景象,更收获了满满的暖意与善意。"将中韩友好传递给更多的人",这句话如同一颗种子,在小记者们的心田中生根发芽。

传递友谊星火,浇灌希望之花。愿中韩青少年从相通相融的历史文化找寻共鸣默契,从日益紧密的交往互动中寻求心灵相通,深化友谊、增信释疑,为两国美好的明天注入更加灿烂的光芒。

(文章摘自中国驻韩国大使馆)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 뉴스핌 기고 국제 정세가 혼란스럽고 국지적 충돌과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 글로벌화가 역풍을 맞고 있고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직면한 많은 국가들은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 이러한 시기에 중국은 실질적인 행동으로 세계에 안정성과 긍정적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 중국은 세계 경제를 안정적 발전으로 이끄는 강력하고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세계 2위 경제국, 1위 제조업 대국이자 2위 소비시장이다. 이런 조건하에서 중국 경제는 체제와 수요, 공급, 인재 등 네가지 부문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보이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4년 중국 경제는 5% 성장률을 달성했고 GDP 증가량은 1조 500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중간 경제국가의 연간 경제 총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2025년 복잡한 환경과 숱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안정 성장 추세를 유지하여, 1분기 5.4% 성장을 달성했고 1~4월 상품무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더욱 중요한 성과는 외부의 압박과 억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돌파를 촉진하는 수많은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잇따라 '딥시크(DeepSeek)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설정된 발전 목표를 달성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엔진이자 안전 장치 역할을 계속 해 나갈 충분한 자신감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 대사. 사진=중국 대사관 제공.  2025.05.24 chk@newspim.com 중국은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확실한 힘이다.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 국책으로, 보호주의의 역류가 거셀수록 중국은 더욱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높은 수준의 개방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국제 사회가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것이다. 중국은 150여 개 국가 및 지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며, 30개 국가 및 지역과 23개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2024년 중국의 평균 수입 관세율은 이미 7.3%로 떨어져 절대 다수 국가보다 낮으며, 43개 최빈국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얼마 전 성공적으로 개최된 중국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는 주변국들과 협력하여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것임을 다짐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동남아 순방과 러시아 방문이 커다란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여러 국가 지도자들이 중국을 방문했다. 갈수록 더 많은 국가들이 중국과의 동행은 바로 기회와의 동행이며, 중국에 대한 신뢰는 곧 미래에 대한 신뢰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은 국제 질서를 수호하는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현행 국제 질서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이 체계의 수혜자이자 지지자, 수호자이다. 중국은 국가 간의 평등 및 호혜 상생을 견지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지향하며, '국력의 크기'를 발언권의 기준으로 삼거나 '자국 우선'을 국제 규칙 위에 두는 것에 반대한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은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국이다. 중국에 대해 '국제 질서 도전자'라고 지목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이전의 규칙 제정자(rule-maker)가 파괴자로 변해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부당한 관세 전쟁에 직면한 중국은 단호한 대응으로 국가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 나섰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공정성과 보편적 세계 정의를 수호하는데도 앞장섰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런 대응은 국제 사회의 많은 나라들이 적극적 협상을 통해 경제∙무역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여지를 넓혀줬다. 중국은 줄곧 각국의 운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더욱 그러하다고 여겨왔다. 중한 수교 이후 33년 동안 양국 간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은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으며, 양국 외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최근 몇 년간 중한 양국의 국가 상황과 지역 정세, 세계 구도에 모두 큰 변화가 있었고, 중한 관계의 복잡성도 다소 커졌다. 양국은 경험과 교훈을 총정리해 재인식, 재출발해야 한다. 이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중한 우호 협력의 강화가 양국과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는 점이다. 한국 정국에 변화가 일어나고 국제 정세 변화의 충격도 마주한 가운데, 대다수의 한국 국민은 국가적 통합을 강화하고 경제와 민생을 발전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많은 지인들은 중한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이 대내외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현재 중한 관계는 지난 날을 토대로 앞날을 개척하는 중요한 단계에 놓여 있다. 중국의 대(对)한국 정책은 확실하며, 중국은 최대한의 성의와 노력으로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할 의향이 있다. 한국이 시대 물결과 국제 흐름을 파악하고 바른 방향을 견지하며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건전하고 안정적이며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길 희망한다. 글 =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대사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2025-05-24 13:27
사진
트럼프 "애플 25% 관세, 삼성에도"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중국 등에서 대부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 같은 조치는 삼성전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애플(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이것은 삼성과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에게도 해당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내 제조를 장려하려면 모든 기업에 공정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2025.05.24 kckim100@newspim.com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현재 유지 중인 50%의 관세를 그대로 두겠다는 입장도 거듭 확인했다. 그는 "EU와의 대화가 더디다"면서 "협상 타결을 기대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루스 소셜 계정을 통해 "나는 애플의 팀 쿡에게 오랫동안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말해왔다. 인도나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그렇지 않다면,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미국에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에 대해서도 "우리의 협상 과정은 아무런 진전이 없다"며 "2025년 6월 1일부터 EU산 제품에 일관 50%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EU는 미국을 무역에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과 다름없고, 협상하기 매우 어려운 상대"라면서 "그들은 강력한 무역 장벽과 부가가치세, 터무니없는 기업 벌금, 비금전적 무역 장벽, 환율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부당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미국과 연간 2억 5000만 달러 이상의 무역 적자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증시에 바로 영향을 미쳤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는 마감을 앞두고 2.92%까지 하락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모두 1.5% 이상 떨어졌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5.14포인트(0.93%) 내린 545.13으로 장을 마쳤다.    kckim100@newspim.com 2025-05-24 04:3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