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금교로 보는 중국] 기교에서 마음으로, 외적인 것에서 내적인 것으로

기사입력 : 2022년11월24일 16:37

최종수정 : 2022년11월24일 16:37

중국 서예가 자창칭(賈長慶) 창작수상(創作隨想)

본 기사는 뉴스핌의 중국 제휴 언론사 <금교>가 제공합니다. <금교>는 중국 산둥성 인민정부판공실이 발행하는 한중 이중언어 월간지입니다. 한국 독자들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첫 번째 중국 정부의 한글 잡지로 한중 교류의 발전, 역동적인 중국의 사회, 다채로운 문화를 생생하게 전달해 드릴 것입니다.

[서울=뉴스핌]정리 주옥함 기자= 나이 30세부터는 타협하는 법을 배우는 나이다. 한 때 여러분이 자랑스러워했던 많은 것들이 덜 중요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진실한 세상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능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경륜과 인식이 쌓일수록 아름다움에 대한 이해가 점점 깊어지며, 눈에 보이는 것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더 주목하게 되는데 이것을 우리는 관심의 영역이 '기교에서 마음으로, 외적인 것에서 내적인 것으로' 변화했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서예는 한자로 표현된 예술로 한자 구성 자체는 서예의 예술창작과 미적발산에 소재를 제공했고 한자 형태에는 균형, 음양, 리듬 등 동양적 이미지의 사유가 뚜렷하게 드러나 서예의 미적 표현에 풍부한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붓, 묵, 종이, 벼루와 같은 중국 특유의 서예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서예의 점과 획으로 온화하고 변화무쌍한 시각적 효과를 표현해 내고 서예의 미적 표현에 많은 루트와 가능성을 제공했다.

서예는 또한 가장 추상적이고 그 관념적형태도 가장 순수한 예술 장르에 속해 중국인의 미학관과 예술관을 가장 집중적으로 구현했다. 서예는 마음의 그림이고 글씨는 그 사람과 같다. 중국 예술은 '사의(寫意)'를 말하며 '불사지사(不似之似, 서로 다르게 보이나 실은 같은 것이다)'를 말하고 '망형이득신(忘形而得神, 형식을 버리고 정신을 취함)'을 말하고 '대의'를 말한다. 중국화는 이와 같으며 서예는 더욱 그러하다.

                 
[사진= 금교 제공]

중국 전통 미학은 유가나 도가, 불가, 초사(楚騷, 이소)의 미학을 막론하고 하나의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관적 심적 감수성과 이를 드러내는 것을 강조하고 사의와 감정 이입을 중시한다. 사의정신은 중국 전통 예술 창작에서의 화신으로 '외사조화(外師造化, 밖으로 대자연을 스승 삼다)'와 '중득심원(中得心源, 그 가운데서 마음의 깨달음을 얻는다)'을 동시에 필요로 한다. 이른바'외사조화, 중득심원'은 물질세계의 감관적 자극과 피드백에 몰입하며 현실적 물상에 감동하여 마음 속에 정감이 생기고 심성의 이해와 가공을 통해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각종 예술을 형성했다. 즉, 사의는 예술, 생활과 심성을 연결하는 효과적 수단이며 사의의 방법이 어떻게 잘 쓰이느냐는 결국 '수양'이라는 두 글자에 있다.

팔대산인(八大山人)이나 홍일법사(弘一法師)의 서예는 모두 '정적이며 간결한(靜而簡)'미학의 경지를 추구했다. 그들의 서예는 그들의 인생처럼 생명의 밑바닥에 쌓인 겉치레와 복잡한 생각을 씻어내고 모든 법도와 욕망을 모두 밖으로 몰아냈다. 그들의 이런 지극히 간결하고 정적인 서예는 바로 그들 인생에 있어 일종의 사의와 수행이 아닐까?

채옹(蔡邕)은 "서예로 가슴 속 깊은 정감을 토로한다(書者散也,欲書先散懷抱)."라고 말했다. 유희재(劉熙載)도 "서예는 일종의 표상으로 서자의 지향점, 그 학문, 그 재능을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서는 바로 그 사람이다(書者,如也,如其誌,如其學,如其才,總之,如其人而已)."라고 했다. 사의는 '모든 일을 도의에 부합되도록 침착하게 해

나가다(從容中道)' 또는 '분함을 드러내어 속마음을 보인다(發憤以抒情)', '제멋대로 함부로 해도 결국은 대도로 나아간다(猖狂妄行乃蹈乎大方)'이며 순수한 중국의 학문이다. 가장 추상적이자 구상적이며 감정을 표현하고 진실하다.

진정한 서예는 작가 의 깊은 감정을 담고 있고 작품을 통해 이 열정 을 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심미적 생각의 개성 화된 특징을 형식에 녹여 작자의 마음과 심미적 추 구를 표현하는 것이다.

현 단계에서 서예 전각 의 학습과 탐구는 나에게는 줄곧 읽고, 생각하고, 창작하고, 몸부림치고, 탐색하는 반복된 과정이었다. 이 과정이 길고 지루하며 굴곡진 것 같지만 다행인 것은 <패왕별희(霸王別姬)>에 나오는 "시대는 일시적 광기와 충동에 의해 무언가를 파괴할 수 있으나 가장 핵심이 되는 아름다움과 정신은 억압 속에서도 여전히 불씨가 남아 있습니다."라는 말처럼 나는 단 한순간도 단념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바로 이 불씨가 남아서 내 안의 '천지의 신(靈祇)'을 거듭 부르고 내 마음이 이끄는 길로 인도해 준다.

작가소개

자창칭(賈長慶), 1984년 10월 출생, 산둥 지난(济南) 리청(历城) 출신, 미술학 박사. 현재 산둥예술대학교 서예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국 서예가협회 회원, 중국 서예가협회 시험센터 시험위원, 산둥성 서예가협회 이사 겸 전각위원회 부비서장, 산둥성 서예가협회 왕희지(王羲之) 서예원 부원장, 산둥성 청소년연합회 위원, 산둥성 청년서예가협회 부주석 겸 비서장, 산둥인사(印社)이사, 산둥화원 산둥서예원 창작원, 산둥성 라이저우(莱州)시 문련(중국 문학 예술계 연합회) 고문, 전국 초중등학생 예술평가 산

둥성 전문가 위원회 위원, 중국문명판공실, 중국문련문예자원봉사 '원몽공정(圓夢工程)'서예 강연자 지도교사, 중국 서예 '난정상(蘭亭獎)'가작상, 성위원회 성정부 '태산문예상(泰山文藝獎)'1등 수상자.

                
[사진= 금교 제공]

[금교(金橋,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관 잡지)=본사 특약]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검장 정진우…동부 임은정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서울중앙지검장에 정진우(52·사법연수원 29기) 서울북부지검장이 내정됐다. 검찰 2인자인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노만석(54·29기)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검사장)이 맡게 됐다. 법무부는 1일 대검검사급(고검장·검사장) 검사 3명에 대한 신규 보임 및 대검검사급 4명, 고검검사급(차·부장검사) 2명 등 6명에 대한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 부임 일자는 오는 4일이다. 서울중앙지검. [사진=뉴스핌 DB] 정 지검장은 국가정보원 파견 근무 이력이 있는 '공안통'으로 분류된다. 2003년 인천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그는 2011년 '저축은행비리합동수사단'이 만들어지자 대검 중앙수사부로 파견돼 일했고, 이후 법무부 국제형사과장·공안기획과장, 북부지검 형사4부장검사 등을 지냈다. 그는 금융정보분석원(FIU) 심사분석실장과 창원지검 진주지청장, 중앙지검 1차장검사 등을 거친 뒤 2022년 윤석열정부에서 검사장으로 승진해 대검 과학수사부장을 지냈고, 이후 춘천지검장을 거쳐 현재 북부지검장을 역임하고 있다. 2000년 대구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한 노 검사장은 광주지검·인천지검 특수부장검사, 중앙지검 조사2부장검사, 서울고검 차장검사, 제주지검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서울고검 차장검사 시절 서울고검장 직무대리를 했던 그는 심우정 검찰총장의 퇴임으로 한동안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맡게 됐다.  검찰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에는 성상헌(52·30기) 대전지검장이 보임됐다. 성 지검장은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장검사, 대검 범죄정보2담당관, 대검 수사정보2담당관, 중앙지검 형사1부장검사, 인천지검 형사1부장검사, 동부지검 차장검사 등을 지냈다. 그는 2022년 윤석열 정부 인사에서 검사장 승진 '1순위'인 중앙지검 1차장검사를 거친 뒤 다음 해인 2023년 인사에서 검사장으로 승진해 대검 기획조정부장으로 이원석 전 검찰총장을 보좌했다. 이후 지난해 인사에서 대전지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아울러 동부지검장에는 임은정(50·30기) 대전지검 중요경제범죄조사단 부장검사, 남부지검장에는 김태훈(54·30기) 서울고검 검사가 각각 임명됐다. 임 부장검사는 검찰 내부고발자를 자처하며 검찰 개혁을 강하게 주장해 온 인물이다. 특히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그의 '저격수' 역할을 하며 강하게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김 검사는 윤석열정부 시절 법무부 검찰과장, 중앙지검 4차장검사 등 요직을 지냈다. 그는 과거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개입 사건'을 지휘한 인물로, 당시 수사팀의 무혐의 결론을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부 장차관을 보좌해 정책을 총괄하는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최지석(50·31기) 서울고검 감찰부장이 맡게 됐으며, 현재 법무부 검찰국장을 맡고 있는 송강 국장은 광주고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한편 사의를 표명한 이진동 대검 차장검사, 신응석 남부지검장, 양석조 동부지검장,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등은 의원면직됐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7:47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