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낯선 정원 속 사랑스런 인물들,재미화가 이연미의 매혹의 판타지

기사입력 : 2022년05월28일 15:19

최종수정 : 2022년05월28일 15:25

상큼한 서정 선사하는 이연미의 10년만의 고국 개인전
서울숲 아뜰리에 아키에서 변화된 신작 20점 출품

 

[서울 뉴스핌]이영란 기자=이연미(Ivory Yeunmi Lee), Hide & Seek-Alison and Olivia in the red sky, 2022, Acrylic on linen canvas, 152.4x121.92cm. [사진=아뜰리에 아키] 2022.05.28 art29@newspim.com

[서울 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활동 중인 화가 이연미(41)가 서울 성동구 서울숲의 아뜰리에 아키에서 개인전을 개막했다. 오는 6월 30일까지 '이연미 Hide & Seek.Alison+Olivia into the garden'이라는 타이틀로 열리는 전시에 작가는 최근 제작한 회화 20여점을 출품했다. 그동안 미국과 중국, 일본 등지를 무대로 활발히 작품전을 열었던 이연미는 2012년 고국에서의 전시 이후 10년 만에 한국 개인전을 열고 있다.

작가는 이번 고국 전시에서 2005년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정원(The Garden)'시리즈의 새로운 버전인 '비 오는 정원(A rainy garden)'과 '붉은 정원(The Red Sky)'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정원'은 이연미가 지속적으로 탐구해온 대상이다. 그는 식물에 고통과 죽음을 느끼는 동물성을 부여해 이채로움을 선사한다.

그간 작가의 그림 속 식물들은 이곳저곳으로 다리를 뻗어 이동하는 반면에, 인간을 비롯한 동물은 나무열매나 꽃같이 그 자리에 정박돼 마치 식물처럼 표현돼왔다. 식물과 동물을 이렇게 거꾸로 병치시킴으로써 그의 그림은 낯선 시각적 경험을 불러온다. 바로 이 낯선 지점이 수많은 작가들이 식물을 그리고 인물을 그리지만 이연미가 도달한 독창적 회화세계라 할 수 있다.

[서울 뉴스핌]이영란 기자= 이연미(Ivory Yeunmi Lee), Big waves and red tree, 2020, Acrylic and color pencil on canvas, 182.88x152.4cm,[사진=아뜰리에 아키] 2022.05.28 art29@newspim.com

그러나 이연미는 식물과 동물에 정반대의 특성을 부여하며 확장된 세계관을 구현하지만 이를 파스텔톤의 부드러운 터치로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따라 어찌보면 대단히 생경하거나 잔인해보일 수 있는 '반전의 미학'을 아름답고 평화롭게 보이도록 한다. 낮은 목소리로, 속삭이듯 찰랑찰랑 들려주는 그의 조형언어는 관람객을 감미로운 판타지의 세계로 이끈다. 즉 낯설면서도 매우 포근한 풍경인 것. 이번 전시에도 이연미는 식물과 풍경을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형상화한 신작을 내놓았다.

어린 시절 이연미는 현실로부터 잠시 떨어져 정원에서 놀기를 즐겼다. 그 때의 기억 속 공간, 즉 어린 시절 형성된 케렌시아(Querencia,나홀로 즐기는 휴식)를 이연미는 조형세계에 끌어와 투영한다. 그는 또 인간이 타락하기 이전 완전했던 정원인 '에덴동산'이라는 상징적 공간을 작가적 상상력으로 표현한다. 섬세하면서도 드라마틱하게 다듬어진 나무와 낯선 형상의 동식물이 등장하는 작가의 정원은 현실과 가공된 환경 사이를 오가며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번 서울 전시의 제목인 'Hide & Seek-Alison+Olivia into the garden'은 이연미의 작업을 관통하는 주제인 '정원'에 기인하면서도 인물이 도드라지게 대입돼 변화를 보여준다. 자신의 두 딸인 앨리슨(Alison)과 올리비아(Olivia)를 작품 전면에 등장시킴으로써 그의 신작은 보다 확장된 작업세계를 드러내고 있다.

불탔던 정원에 비와 함께 등장한 두 소녀들의 여정은 새로운 관계성을 창조하며 다층적 풍경으로 완성됐다. 인물이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종전 연작에 비해 압도적인 구심점이 생긴 것이다. 이러한 지점은 스토리텔링에 대한 작가의 지속적인 탐구와 연관돼 있다. 욕심, 경계, 낯섦과 같은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복합적인 감정들이 혼재된 이연미의 작품 속 모티프들은 상상과 작가의 사적인 경험이 조우했을 때 발현되는 흥미로운 연상을 관객 앞에 드러낸다. 작가는 "살아오면서 경험했던 기억이라는 창고 속에 축적돼있는 여러 이미지들이 자연스럽게 작업으로 표출되곤 한다"고 밝혔다.

[서울 뉴스핌]이영란 기자= 이연미(Ivory Yeunmi Lee), Hide & Seek-Alison and Olivia in the raining garden, 2020 Acrylic and color pencil on canvas, 182.8x152.4cm [사진=아뜰리에 아키] 2022.05.28 art29@newspim.com

이처럼 자신만의 정원을 구축하고, 현실과 판타지 사이의 간극을 극대화시키며 서정적인 조형세계를 구현하고 있는 이연미는 최근 미술계 화두인 NFT에도 도전 중이다. 세계 최대의 NFT 플랫폼인 '오픈시(Opensea)'와 '파운데이션(Foundation)'을 통해 선보인 작업은 해외 컬렉터들로부터 폭넓은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연미는 아뜰리에 아키에서의 개인전에 이어 오는 6월에는 뉴욕을 기점으로 활동하는 Vizmesh와의 협업을 통해 뉴욕 타임스퀘어(Times Square)에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어 뉴욕 Space776 Gallery, 홍콩 K11 MUSEA 등에서의 전시가 잡혀 있다.

art2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체결…원유·무기류 관세 철폐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29일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했다. UAE는 중동 지역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를 잇는 물류 허브로, 우리 기업들이 세계 각국으로 진출을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국 정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타니 빈 아흐메드 알제유디 UAE 대외무역 특임장관이 한-UAE CEPA에 정식 서명했다고 밝혔다. ◆ 무기류 수입 관세 즉시 철폐…원유 수입 관세 3%→0% 양국 CEPA는 지난해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본격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후 양국 정부 간 집중적인 협상을 거쳐 같은 해 10월 타결됐다. 정부는 협정문에 대한 법률 검토와 국문본 마련, 법제처 심사 등 정식 서명에 필요한 국내 절차를 진행해 왔다. UAE는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14위 교역 상대국으로 손꼽힌다. 교역 규모는 2021년 113억달러에서 2022년 195억달러, 지난해 209억달러 등으로 매해 상승하고 있다. 우리는 주로 자동차·전자기기·합성수지 등 공산품을 수출하고, UAE로부터 원유·석유제품·천연가스 등 국내 산업에 필수적인 에너지와 원료를 주로 수입한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빈 방한 공식 환영식에서 양국 국기를 든 삼광초등학교 어린이환영단의 환호에 인사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2024.05.29 photo@newspim.com CEPA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양국은 높은 수준으로 상품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 시장 개방 수준은 품목수를 기준으로 한국 92.5%, UAE 91.2%다. 우리 중동 주력 수출품인 무기류는 대부분 품목이 협정문 발효 즉시 UAE 시장 내 관세가 철폐돼 수출 증대가 기대된다. 압연기·금속 주조기 등 기계류 상당수는 5년 내, 자동차·부품·가전제품 등은 발효 후 최장 10년 이내에 관세가 철폐된다. 특히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전기차·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에 대한 관세도 발효 후 최장 10년 내 철폐된다. 화물·특수차 중에서는 덤프차·적재차량 등에서 상당수 즉시 철폐를 확보해 중동의 건설시장 붐에 힘입은 수출 상승이 전망된다. 이 외 의료기기·화장품 등 공산품뿐만 아니라 우리 주요 농수산물도 관세 철폐 혜택을 받게 된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이로써 UAE와 아직 CEPA를 체결하지 않은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을 대폭 개선하게 됐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CEPA를 통해 원유 수입 관세도 철폐된다. 양국은 UAE산 원유 수입 관세를 발효 후 10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석유화학 제품의 주 원료인 나프타 수입 관세는 5년에 걸쳐 절반으로 감축하기로 했다. 원유 수입 관세는 3%에서 0%로, 나프타 수입 관세는 0.5%에서 0.25%로 줄어든다. 이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가격 경쟁력 제고와 국내 물가 안정 효과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 온라인 게임 서비스 '최초 개방'…처음으로 국경 간 정보 이전 허용 UAE는 다른 나라와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는 개방하지 않았던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한국과의 CEPA에서 최초로 개방했다. 이를 통해 중동 지역으로 게임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공급하거나 관련 업체가 직접 현지에 진출할 때 우리 기업 활동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됐다. 또 우리 의료 기관의 현지 개원과 원격 진료를 허용하고, 산후조리·물리치료 서비스도 개방하기로 했다. 아울러 양국은 이번 CEPA에서 ▲에너지·자원 ▲첨단산업 ▲순환경제 ▲시청각 서비스·공동제작 ▲스마트팜 ▲보건산업 ▲관광 ▲수송 ▲해상운송 ▲디지털경제·무역 ▲귀금속 ▲공급망 ▲경쟁 ▲바이오경제 등 신통상 의제를 포함한 14개 협력 분야를 명시했다. 특히 UAE는 다른 국가들과 기존에 체결한 CEPA와 달리 대체·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자원에 관한 협력을 포함했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빈 방한 공식 환영식에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2024.05.29 photo@newspim.com 이에 대해 산업부는 "14개 협력 분야를 명시함으로써 양국 간 미래지향적 경제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포괄적인 경제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고 풀이했다. 또 양국은 CEPA를 통해 통관과 정부 조달, 디지털 무역, 지식재산권 등 양국 간 무역 과정에서 적용되는 무역 규범을 개선했다. 이를 기반으로 양국은 물품 통관에 대한 사전심사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수출기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또 세계무역기구(WTO) 정부 조달 협정 비가입국인 UAE와 주요 중앙정부기관의 조달 시장을 개방하고, 투명성·비차별성 원칙이 반영되도록 했다. 디지털 무역과 관련해 UAE는 자국 최초로 국경 간 정보 이전을 허용했다. 이 규정을 통해 UAE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은 현지에서 수집한 정보를 국내로 이전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높은 수준의 지재권 보호 규범을 도입해 우리 기업의 저작권·상표 침해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 조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앞으로 정부는 이날 서명된 CEPA의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이른 시일 안에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양국은 CEPA 비준과 발효를 위한 자국 내 법적 절차를 완료한 후, 이를 증명하는 서면 통보를 교환하게 된다. 이후 한-UAE CEPA는 서면 통보 접수일 후 두 번째 달의 첫 번째 날에 발효된다. rang@newspim.com 2024-05-29 14:04
사진
삼성전자 노조 '창사 첫 파업' 선언...다음달 7일 '단체 연차 사용'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1969년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파업에 나선다. 전삼노는 29일 오전 11시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의 일방적인 사측의 교섭 결렬을 이유로 즉각 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국삼성전자노조 조합원들이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파업을 선언하고 있다. [사진=김정인 기자] 손우목 전삼노 위원장은 "노조가 여러 차례 문화행사를 진행했음에도 사측은 지난 28일 아무런 안건도 없이 교섭에 나왔다"며 "이 모든 책임은 노동자를 무시한 사측에 있다. 이 순간부터 즉각 파업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전삼노는 '일한 만큼 공정하게 지급하는 것'이 가장 큰 요구사항이라는 입장이다. 손 위원장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임금 1~2% 인상이 아니다. 일한 만큼 공정하게 지급하라는 것"이라며 "성과금을 많이 달라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제도 개선을 통해 투명하게 지급해 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삼성전자만의 처우개선이 아닌 삼성그룹 계열사와 협력사, 한국의 노동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삼노는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버스를 이용해 24시간 농성을 이어간다. [사진=김정인 기자] 전삼노는 총파업까지 단계를 밟아나가겠다며 다음달 7일, 조합원 2만8400명의 단체 연차 사용을 통해 첫 파업을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24시간 농성을 이어갈 방침이다.  삼성전자와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임금협상을 위한 교섭을 이어왔지만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노조는 결국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 중기 결정과 조합원 찬반 투표 등을 거쳐 지난달 합법적 쟁의권을 확보했다. 이후 지난 28일 임금협상을 위한 8차 본교섭을 진행했으나 사측 인사 2명의 교섭 참여를 두고 입장차가 발생했다.  업계에서는 메모리 업턴을 기대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노사 갈등 장기화로 '노조 리스크'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사측은 최근 10년 내내 위기라고 외치고 있다"며 "위기라는 이유만으로 노동자가 핍박받아서는 안 된다"고 했다.  kji01@newspim.com 2024-05-29 13:2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