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12/23 홍콩증시종합] 전력∙헝다株 강세 불구 '혼조 마감'

기사입력 : 2021년12월23일 18:42

최종수정 : 2021년12월23일 20:08

홍콩항셍지수 23193.64(+91.31, +0.40%)
국유기업지수 8204.31(+9.08, +0.11%)
항셍테크지수 5638.31(-46.98, -0.83%)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23일 홍콩증시를 대표하는 3대 지수가 혼조 마감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40% 상승한 23193.64포인트를,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0.11% 오른 8204.31포인트를 기록했다. 반면,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0.83% 하락한 5638.31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섹터별로는 전력과 헝다그룹 테마주, 석유, 비철금속, 태양광 등이 상승했다. 반면 스포츠와 쇼트클립(짧은 동영상) 테마주가 두드러진 낙폭을 기록했다.

풍력발전을 중심으로 전력 섹터가 눈에 띄는 강세장을 연출했다.  

대표적으로 대당그룹신에너지(1798.HK)가 18.56%, 북경경능청정에너지(0579.HK)가 15.07%, 중국전력(2380.HK)이 9.72%, 화능국제전력(0902.HK)이 9.23%, 용원전력(0916.HK)이 8.22%, 신천녹색에너지(0956.HK)가 8.15% 상승했다.

최근 중국 각 지방정부가 해상풍력발전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 쏟아지고 있는 낙관적인 업계 전망이 해당 섹터에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했다.

중금공사(中金公司)는 탄소중립 정책 하에 풍력발전 설비 설치량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2025년 전세계 설치량은 119기가와트(GW)로 늘어나고, 그중 중국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66GW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천풍증권(天風證券)은 최근 중국 국가에너지국이 발표한 '풍력발전소 개조 및 업그레이드, 낙후 관리 방법'에 관한 의견수렴안은 15년 이상 운영된 풍력발전소의 업그레이드를 지원하겠다는 당국의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풍력발전 업계 수익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 = 텐센트증권] 23일 홍콩항셍지수 주가 추이.

헝다그룹이 디폴트(채무불이행) 리스크 대응 의지를 시사한 것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헝다 테마주 일부가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중국헝다그룹(3333.HK)은 2.07%, 헝다뉴에너지자동차(0708.HK)가 12.39% 상승했고, 에버그란데 프로퍼티 서비시스 그룹(6666.HK)은 전날과 동일한 2.67홍콩달러로 보합 마감했다.

전날 저녁 헝다그룹은 "현재 자사가 직면해 있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리스크 해소 위원회를 통한 광범위한 자원 동원에 나서는 동시에, 채권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쌍방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미국 원유 재고 감소 소식에 국제유가가 상승하자, 석유 섹터 대표 종목들의 주가도 올랐다.

대표적으로 중국해양유전서비스(2883.HK)가 3.20%, 시노펙(0386.HK)이 2.50%, 페트로차이나(0857.HK)가 2.06%, 시누크(중국해양석유 0883.HK)가 1.91% 상승했다.

2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1.64달러(2.31%) 오른 배럴당 72.2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2월물 브렌트유 가격도 1.31달러(1.77%) 상승한 배럴당 75.29달러를 기록했다.

알루미늄과 구리 가격 상승세 속에 비철금속 섹터도 강세 흐름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중국알루미늄(2600.HK)이 8.96%, 중국굉교(1378.HK)가 6.67%, 오광자원(1208.HK)이 5.93%, 금천국제(2362.HK)가 5.00%, 러시아알루미늄(0486.HK)이 3.93%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개별 종목 중에서는 제이디닷컴(징둥 9618.HK)이 7.02%의 낙폭을 기록했다. 제이디닷컴의 최대 주주였던 텐센트의 지분 축소 소식이 악재로 작용했다.

23일 오전 텐센트(0700.HK)는 중간배당 방식으로 제이디닷컴의 주식 4억 6000만 주를 텐센트 주주들에게 나눠주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텐센트가 보유한 제이디닷컴의 지분 보유율은 기존의 17%에서 2.3%로 축소됐고, 최대 주주의 자리에서도 물러서게 됐다. 해당 소식에 텐센트는 4.24% 상승 마감했다.

한편, 24일 홍콩증시는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아 오전장만 개장한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장동혁, 김문수 누르고 국힘 새 당 대표 [서울=뉴스핌] 박서영 기자 = 국민의힘 새 당 대표에 재선 장동혁 의원이 26일 당선됐다. 장동혁 신임 당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김문수 후보를 꺾고 당권을 거머쥐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국민의힘 장동혁, 김문수 당 대표 후보가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제6차 전당대회 결선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8.26 pangbin@newspim.com 이번 결선투표는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 동안 추가 투표를 거친 후, 당원 선거인단 투표(8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20%)를 합산한 결과다.  장 대표는 22만301표 김 후보는 21만7935표를 각각 득표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22일 제6차 전당대회를 열고 투표 결과를 발표했으나 과반 이상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아 김 후보와 장 후보의 결선 행이 확정됐다. 안철수 후보와 조경태 후보는 낙선했다. 당시 득표율 및 순위는 따로 공개되지 않았다. 앞서 최고위원에는 신동욱·김민수·양향자·김재원 후보가 당선됐다. 청년최고위원은 우재준 후보가 선출됐다. 국민의힘 지도부를 구성하는 최고위원 및 청년최고위원은 반탄(탄핵반대) 3명(신동욱·김민수·김재원)과 찬탄(탄핵찬성) 2명(양향자·우재준) 구도다. 장 대표와 최고위원, 청년최고위원의 임기는 이날부터 시작된다. seo00@newspim.com 2025-08-26 10:47
사진
뉴스핌, AI 기반 맞춤형 MY뉴스 출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매일 쏟아지는 수만 개의 뉴스 중에서 정작 나에게 필요한 뉴스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국내 최초로 AI(인공지능)로 독자에게 뉴스를 추천해주는 'AI MY뉴스'를 11일 본격 출시했다. AI MY뉴스의 핵심은 지능형 구조에 있다. 그동안 미디어는 독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에 의존해 단순히 뉴스를 선별해 제공했다. 그러나 AI MY뉴스는 독자를 이해하고 학습해가며 개인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제공한다. ◆ AI 추천뉴스·글로벌투자·AI 어시스턴트 출시 'AI 추천뉴스'는 독자가 첫 번째 기사를 클릭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기사를 읽을 때마다 AI 시스템이 독자의 취향을 기억하고 분석한다. 경제 뉴스를 자주 읽는 독자라면 점차 반도체, 주식, 부동산 등 세부 관심사까지 파악해 더욱 정확한 뉴스를 추천한다. '모닝 브리핑'과 '런치 브리핑'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맞춤 서비스다. 모닝 브리핑은 AI가 밤새 분석한 전날과 당일 새벽까지의 주요 뉴스를 5~7개 헤드라인으로 정리해 제공한다. 런치 브리핑은 오전 7시부터 정오까지의 뉴스를 공공·정치, 산업시장, 글로벌, 전국 이슈 등 4개 분야로 나눠 각각 5개씩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글로벌 투자' 서비스는 AI MY뉴스의 핵심 콘텐츠다. 뉴스핌 마켓 전문기자들의 고품질 투자분석 'GAM(Global Asset Management)'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글로벌 브리핑'은 미국 증권시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날마다 시장 개요부터 투자자 관점까지 4개 섹션으로 체계화된 분석을 제공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를 별도 추적해 대형 기술주의 시장 영향력을 정밀 분석한다. '파워 특징주 포트폴리오'는 일일 수익률, 변동성, 이동평균 편차 등 핵심 지표를 종합해 수익률 상위 종목을 분석하고, '이 시각 증시 시그널'은 글로벌 이슈를 실시간으로 찾아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정리해 제공한다. '주간 연준 인사이트'는 연방준비위원회 공식 브리핑을 투자자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뉴욕증시 전문가 팁'은 매일 뉴욕 현지 증시 전문가들의 생생한 조언을 5개의 구체적인 팁으로 가공해 전달한다. 이 가운데 '뉴스 종목 추적기'는 전 세계 글로벌 뉴스에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포착한다. S&P500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종목을 각각 5개씩 찾아 구체적인 이유도 내놓는다. 뉴스핌이 새롭게 내놓는 AI MY뉴스 서비스 모습 [자료=뉴스핌DB] 2025.08.08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은 글로벌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와 협력해 생활 밀착형 AI 어시스턴트도 제공한다. '뉴스 전략 24시'는 그동안 축적된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답변과 생활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증시 투자 전략도 함께 제공해준다. '정책 배달 119'는 정부 정책브리핑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상황에 맞는 정책을 찾아 신청 방법까지 안내하는 개인 맞춤형 정책 컨설턴트 역할을 한다. 단순 검색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현실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뉴스핌의 모든 기사는 50개 국어로 번역돼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독자들도 모국어로 한국 뉴스를 접할 수 있다.  ◆ "독자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AI MY뉴스는 정보 홍수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 모두의 삶에 힘이 되는 뉴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회장은 "AI MY뉴스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며 개인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이라며 "AI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AI로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모두가 제한 없이 무료 서비스를 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번 AI MY뉴스 서비스는 첫 버전(V 1.0)이다. 우선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뉴스핌은 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 수요를 직접 파악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분야별 독자들의 성향을 파악해 다양한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받아 매월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이미 서비스에 나선 AI 아나운서 글로벌 투자 콘텐츠는 물론, 다양한 영상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뉴스핌은 국내를 뛰어넘어 세계 시장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글로벌 뉴스통신사로 도약하는 데 속도를 낼 예정이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11 12: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