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북한이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핵무기용 우라늄 생산이 가능하다는 연구가 나왔다.
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CISC)는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북한 평산 일대의 우라늄 채굴 시설을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했다.
연구진이 알고리즘을 활용해 위성사진을 분석하고 토지용도 변경을 확인하는 등 평산 일대의 삼림벌채 수준을 추적한 결과, 북한은 핵폭탄 20개를 만들 수 있는 우라늄 물량을 매년 생산해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 수십년간 추산됐던 북한의 연간 우라늄광 채굴량은 3만톤(t)이지만 최대 역량이 36만t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채굴되고 있는 물량은 10분의 1 혹은 20분의 1 수준이며, 왜 최대 역량으로 우라늄 생산에 나서지 않는 것인지는 의문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그동안 다른 연구들을 보면 북한은 매년 6~10개의 핵폭탄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여겨졌다. 지난해 미군은 매년 6개 핵폭탄 제조 역량이 있다고 평가했었다.
우라늄광을 제련하는 과정에서 우라늄염(yellow cake) 추출을 늘리고 우라늄 생산을 증대하더라도 영변 핵시설의 농축 역량이 부족한 것일 수 있다는 진단이다.
혹은 북한 정권이 단순히 현 수준의 핵확산 수준에 만족하는 것일 수 있고, 우라늄 농축 등 무기 제조 후반 작업에 필요한 다른 재료 수급이 어려운 상황일 수 있다고 연구진은 추정했다.
wonjc6@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