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 100% 놀이의발견, 회원수·거래액 급증... '신성장동력' 찾나
놀이의발견 실적은 '저조'... IPO 추진 가능할까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웅진 회장의 차남인 윤새봄 대표가 핵심계열사인 웅진씽크빅의 재도약 발판을 마련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교육업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모바일 플랫폼사업인 '놀이의발견'으로 교육 사업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모습이다.
![]() |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2021.04.07 shj1004@newspim.com |
◆ 웅진 100% 놀이의발견, 회원수·거래액 급증... '신성장동력' 찾나
9일 업계에 따르면 웅진씽크빅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6461억원, 영업이익은 148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0.9%, 31.6%씩 감소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7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2019년 1506억원에 달했던 순손실이 흑자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여파로 교육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된 점을 감안하면 나름 선방한 수치다. 인해 온라인 학습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대규모 선제 투자가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다.
윤 대표는 웅진씽크빅을 전문경영인이자 IT전문가인 이재진 대표에게 맡기고 새 수익원을 찾는 데 직접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그는 미시간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2009년부터 웅진씽크빅 전략기획팀, 웅진케미칼 경영관리팀, 웅진 기획조정실장 등을 거쳤다.
2016년부터 웅진씽크빅 대표로 활동한 뒤 2018년부터는 웅진 사업운영총괄 전무를 담당하며 2020년 5월 놀이의 발견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웅진이 100% 지분을 보유한 키즈플랫폼 회사 놀이의발견은 성장세가 가파른 키즈산업을 겨냥해 출범한 웅진의 신규 사업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윤 대표가 놀이의 발견을 초기 단계부터 기획했다는 점이다. 그는 웅진씽크빅 대표 시절 에듀테크에 대한 충분한 사업 검토와 시장조사를 마친 후 놀이의 발견을 출범시킨 것으로 알려진다.
그 결과 놀이의 발견은 2018년 11월 시범버전을 출시한 후 최근까지 회원 수 46만명, 누적거래액 80억원, 제휴사 5000개를 달성했다.
지난해 말 누적회원수 67만명, 누적거래액 146억원을 달성했다. 또 지난해 9월 20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웅진씽크빅과 종속기업들에 포함된 놀이의발견은 기존 사업부문의 안정적인 성장과 더불어, 신규 사업의 추가 성장을 통해 종합 교육전문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진화시켜 나가고 있다.
웅진씽크빅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여가시장 침체기에 있는 점을 감안해 언택트 랜선 콘텐츠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며 "아이들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사업자로서의 아이덴티티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화소비 방식을 이끌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윤새봄 놀이의 발견 대표이사 [사진=웅진] 2021.04.07 shj1004@newspim.com |
◆ 놀이의발견 실적은 '저조'... IPO 추진 가능할까
현재까지의 성장세로 윤 대표의 경영능력은 이미 충분히 입증됐다. 하지만 웅진그룹의 최대주주로 등극하며 후계자 입지를 다진 윤새봄의 남아있는 과제는 IPO(기업공개)다.
이를 위해 올해까지 회원 수 200만명 확보를 목표로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윤 대표는 "투자유치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신규사업과 스타트업 M&A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향후 키즈시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다만 놀이의발견의 실적은 저조하다. 지난해 매출액은 4억원을 기록했지만 당기순익은 64억원 손실을 기록했다. 웅진씽크빅의 100% 자회사로 되기 전인 2019년 연간 매출액은 1억8900만원, 순손실은 약 40억원 수준을 기록하며 미미한 경영 성과를 보여왔다.
본격적인 IPO일정에 돌입하기 위해선 실적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또 성장성을 지나치게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로써는 놀이의발견과 같이 아이들을 타깃으로 한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사업에 직접적인 경쟁사는 없다. 하지만 여가 관련 종합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 오픈마켓인 이베이코리아, 쿠팡, 위메프, 티몬, 성인 20~30대를 대상으로 액티비티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야놀자, 여기어때컴퍼니 등과 플랫폼 시장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점을 놓고보면 규모가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놀이의 발견은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회원 수와 월거래액이 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플랫폼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는 만큼 개선세는 충분히 그려진다"고 내다봤다.
shj10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