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 중국 전기차 다크호스, '헝다자동차'

기사입력 : 2021년01월27일 17:06

최종수정 : 2021년01월28일 17:02

부동산 개발업체가 탄생시킨 전기차 기업
자사 브랜드 '헝츠' 14개 모델 중 6개 출시
2020년 주가 288%↑, 순익 3년연속 마이너스
연간 생산량 2025년 100만대로 확대 목표

[편집자] 이 기사는 1월 26일 오후 4시4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는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의 성장세 속에, 최근 몇 년간 중국본토와 홍콩 증시의 신에너지 자동차 섹터에서는 주가 상승랠리를 펼치는 '스타주'들이 대거 탄생했다.

그 중에서도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헝다뉴에너지자동차(恒大汽車 0708.HK)의 주가 상승세가 눈에 띈다.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최근 홍콩증시에서 일일 주가 상승폭 50% 이상, 4000억 홍콩달러(약 57조1240억원)에 육박하는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단숨에 자동차 섹터 시총 1위 비야디(比亞迪 002594.SZ/1211.HK)의 뒤를 잇는 종목으로 부상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신에너지 자동차 업계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헝다뉴에너지자동차의 시총이 6배에서 12배까지 성장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5년 내 전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를 넘어서는 생산능력을 갖추며 테슬라의 가장 유력한 '대항마'로 부상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사진 = 헝다뉴에너지자동차 공식 홈페이지]

◆ '헬스케어 병행업체'서 '전기차 전문업체'로 변모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중국 3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恒大集團) 산하의 신에너지 자동차(전기차) 개발 전담 자회사다.

지난 2020년 7월 27일 헬스케어와 신에너지 자동차 사업을 병행하던 헝다건강산업그룹유한공사(恒大健康產業集團有限公司)에서 현재의 헝다뉴에너지자동차그룹유한공사(恒大新能源汽車集團有限公司)로 사명이 변경됐다. 이는 헝다그룹이 향후 신에너지 자동차 사업에 더욱 많은 역량을 쏟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쉬자인(許家印) 헝다그룹 회장은 "향후 3~5년 안에 헝다뉴에너지자동차를 세계 최대 규모의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으로 키우겠다"는 야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주로 신에너지 완성차, 리튬전지, 파워트레인(엔진의 발생동력을 전달하는 일련의 장치), 자동차부품, 커넥티드카 연구개발 및 생산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 자사의 전기차 브랜드인 헝츠(恒馳)의 14개 모델을 연구개발한 상태며, 그 중 6개의 모델은 지난해 출시됐다. 승용차,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다목적차(MPV) 등 다양한 차량의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전형적인 자동차 업계의 계보를 잇지 않은 부동산 개발업체가 탄생시킨 신에너지 자동차 기업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최근 부동산 개발업체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진출은 업계의 트렌드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지난 몇 년간 중국 당국이 '주택은 거주용이지 투기용이 아니다(房住不炒)'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부동산 투기 방지에 적극 나서면서 부동산 개발업계의 성장성은 눈에 띄게 둔화됐고, 이에 미래 핵심 성장산업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는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으로 진출하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하나 둘씩 늘어나고 있다.

헝다그룹 외에 중국을 대표하는 부동산 개발업체 중 하나인 비구이위안(碧桂園)은 지난 2018년 1월 6억4000만 위안을 출자해 광둥(廣東)성 포산(佛山)시 순더(順德)구에 신에너지 자동차 타운을 건설했다. 이와 함께 동력배터리, 신소재, 완성차, 모터제어기, 파워트레인 등 5대 분야 연구원을 구축해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으로의 본격 진출에 나섰다.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화샤싱푸(華夏幸福) 또한 난징(南京)시 리수이(溧水)구에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기지를 건설한 데 이어 지난 2017년 3억3000만 위안을 출자해 저장합중신에너지자동차(浙江合眾新能源汽車)의 지분 53.35%를 사들였다.

◆ 주가 288.67%↑, 중국 자동차企 시총 2위

2020년 한 해 동안 헝다뉴에너지자동차의 주가는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의 성장세 속에 288.67%나 상승했다.

이 같은 주가 상승세는 새해 들어서도 지속되고 있다.

2021년 1월 25일 홍콩증시에서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하루 동안 주가가 51.67% 상승했고, 종가는 45.35홍콩달러, 시가총액(시총)은 3998억3200만 홍콩달러로 뛰었다.

여기에는 전날 저녁 전해진 대규모 자금조달 소식의 영향도 컸다. 24일 저녁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제3자 배정방식을 통해 6명의 투자자에게 주당 27.3홍콩달러에 9억5200만 이상의 신주를 발행, 260억 홍콩달러의 자금을 모집했다고 밝혔다.

2020년 시총 기준으로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와 H주(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기업 주식) 자동차 상장사 중 4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1월 25일 시총 기준으로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비야디(0285.HK)의 7595억1500만 홍콩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시총을 보유한 중국 자동차 기업으로 올라섰다.

2020년 시총 2∙3위를 기록했던 장성자동차(02333.HK)와 상하이자동차(600104.SH)의 25일 기준 시총은 각각 2596억7900만 홍콩달러와 2693억400만 위안(3217억8600만 홍콩달러) 수준이다. 

다만, 헝다뉴에너지자동차의 이같은 가파른 주가 상승세와 비교해 실적 측면에 있어서는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17~2020년 상반기 영업수익은 15억1000만 위안, 31억3000만 위안, 56억4000만 위안, 45억1000만 위안으로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순이익은 3억1000만 위안에서 마이너스(-)14억3000만 위안, -49억5000만 위안, -24억6000만 위안으로 최근 몇 년간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 '테슬라 대항마'로 부상, 5년내 생산량 100만대 목표

일부 업계 전문가들은 헝다뉴에너지자동차가 제품라인과 생산규모 측면에서 전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가장 강력한 적수가 될 수 있다며 그 성장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테슬라와 헝다뉴에너지자동차를 비교해보면, 현재 헝다뉴에너지자동차의 시총은 테슬라(현지시각 25일 기준 8349억1100만 달러, 6조4714억 홍콩달러)의 16분의 1에 불과하다.

하지만, 제품라인과 생산능력 측면에서는 헝다뉴에너지자동차가 테슬라에 비견할 수 있을 만한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제품라인 측면에서 테스라는 4개의 전기차 모델을 갖고 있고, 2020년 생산∙판매량은 50만대를 기록했다. 반면,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14개의 전기차 모델을 보유하고 있고, 생산능력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현재 헝다뉴에너지자동차는 최신 기술을 도입한 10대 스마트 제조공장을 건설 중이고, 이를 통해 2025년 전까지 연간 생산량을 100만대로, 2035년까지 연간 생산량을 500만대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공개한 상태다. 계획대로 이뤄질 경우 생산능력 측면에서도 테슬라를 월등히 앞서게 된다.

한 업계 전문가는 "테슬라의 주가 흐름을 고려할 때, 현재 테슬라 시총의 절반 수준을 기준점으로 삼을 경우 헝다뉴에너지자동차의 시총은 향후 6배 이상 늘어나고 목표가는 360홍콩달러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테슬라 현재 시총을 기준점으로 삼을 경우 향후 헝다뉴에너지자동차의 시총은 12배의 성장여력이 있고, 목표가는 720홍콩달러까지 상향조정될 것"으로 진단했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뉴스핌, AI 기반 맞춤형 MY뉴스 출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매일 쏟아지는 수만 개의 뉴스 중에서 정작 나에게 필요한 뉴스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국내 최초로 AI(인공지능)로 독자에게 뉴스를 추천해주는 'AI MY뉴스'를 11일 본격 출시했다. AI MY뉴스의 핵심은 지능형 구조에 있다. 그동안 미디어는 독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에 의존해 단순히 뉴스를 선별해 제공했다. 그러나 AI MY뉴스는 독자를 이해하고 학습해가며 개인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제공한다. ◆ AI 추천뉴스·글로벌투자·AI 어시스턴트 출시 'AI 추천뉴스'는 독자가 첫 번째 기사를 클릭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기사를 읽을 때마다 AI 시스템이 독자의 취향을 기억하고 분석한다. 경제 뉴스를 자주 읽는 독자라면 점차 반도체, 주식, 부동산 등 세부 관심사까지 파악해 더욱 정확한 뉴스를 추천한다. '모닝 브리핑'과 '런치 브리핑'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맞춤 서비스다. 모닝 브리핑은 AI가 밤새 분석한 전날과 당일 새벽까지의 주요 뉴스를 5~7개 헤드라인으로 정리해 제공한다. 런치 브리핑은 오전 7시부터 정오까지의 뉴스를 공공·정치, 산업시장, 글로벌, 전국 이슈 등 4개 분야로 나눠 각각 5개씩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글로벌 투자' 서비스는 AI MY뉴스의 핵심 콘텐츠다. 뉴스핌 마켓 전문기자들의 고품질 투자분석 'GAM(Global Asset Management)'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글로벌 브리핑'은 미국 증권시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날마다 시장 개요부터 투자자 관점까지 4개 섹션으로 체계화된 분석을 제공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를 별도 추적해 대형 기술주의 시장 영향력을 정밀 분석한다. '파워 특징주 포트폴리오'는 일일 수익률, 변동성, 이동평균 편차 등 핵심 지표를 종합해 수익률 상위 종목을 분석하고, '이 시각 증시 시그널'은 글로벌 이슈를 실시간으로 찾아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정리해 제공한다. '주간 연준 인사이트'는 연방준비위원회 공식 브리핑을 투자자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뉴욕증시 전문가 팁'은 매일 뉴욕 현지 증시 전문가들의 생생한 조언을 5개의 구체적인 팁으로 가공해 전달한다. 이 가운데 '뉴스 종목 추적기'는 전 세계 글로벌 뉴스에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포착한다. S&P500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종목을 각각 5개씩 찾아 구체적인 이유도 내놓는다. 뉴스핌이 새롭게 내놓는 AI MY뉴스 서비스 모습 [자료=뉴스핌DB] 2025.08.08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은 글로벌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와 협력해 생활 밀착형 AI 어시스턴트도 제공한다. '뉴스 전략 24시'는 그동안 축적된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답변과 생활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증시 투자 전략도 함께 제공해준다. '정책 배달 119'는 정부 정책브리핑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상황에 맞는 정책을 찾아 신청 방법까지 안내하는 개인 맞춤형 정책 컨설턴트 역할을 한다. 단순 검색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현실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뉴스핌의 모든 기사는 50개 국어로 번역돼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독자들도 모국어로 한국 뉴스를 접할 수 있다.  ◆ "독자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AI MY뉴스는 정보 홍수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 모두의 삶에 힘이 되는 뉴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회장은 "AI MY뉴스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며 개인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이라며 "AI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AI로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모두가 제한 없이 무료 서비스를 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번 AI MY뉴스 서비스는 첫 버전(V 1.0)이다. 우선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뉴스핌은 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 수요를 직접 파악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분야별 독자들의 성향을 파악해 다양한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받아 매월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이미 서비스에 나선 AI 아나운서 글로벌 투자 콘텐츠는 물론, 다양한 영상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뉴스핌은 국내를 뛰어넘어 세계 시장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글로벌 뉴스통신사로 도약하는 데 속도를 낼 예정이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11 12:54
사진
다음달 10일 2차 소비쿠폰 기준 나온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행정안전부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기준을 이르면 내달 초 발표할 예정이다. 상위 10% 구분 기준은 부동산 및 금융소득 등을 살펴 이달 중 기준 수립 준비에 나선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에서 열린 민생회복 소비쿠폰 간담회에서 "9월 10일 정도에 2차 (소비쿠폰) 기준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실장에 따르면 2차 지급 기준 준비는 이달 중 시작된다. 그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을 만나 기준을 짜야 한다"며 "2021년 사례를 보면 1인가구는 특례를 가산했고, 맞벌이가구는 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한국신용데이터(KCD)가 4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자영업자 매출 증감률은 전주 대비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04 ryuchan0925@newspim.com 한 실장은 "고액 자산가인데 건보료만 적게 내는 경우도 있다"며 "(행안부의) 부동산 데이터나 국세청 금융소득 데이터를 활용해 직장 가입자 중 고액 자산가를 선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소비쿠폰 지급 현황에 따르면 전체 신청자는 4818만명으로, 전체 지급대상자의 95.2%가 신청을 마쳤다. 지급액은 8조7232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용 현황은 신용·체크카드 지급액 5조8608억원 가운데 절반가량인 3조404억원(51.9%)이 소비됐다. 이날 처음 공개된 지역별 신용·체크카드 소비율을 보면 서울보다 지역이 높은 편이었다. 제주가 57.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 54.7%, 울산 54.6%, 광주 54.5%, 충북 54.1%, 대전 54.0%, 부산 53.7% 등이었다. 한 실장은 "비수도권에 3만원·5만원 더 준 부분도 있지만, 지역 영세소상공인 매출로 이어져 의미 있는 숫자"라며 "10%포인트(p) 차이는 아니지만 2~3%p라도 높은 것은 그만큼 비수도권이 어려웠다는 방증이자 (소비쿠폰이) 사용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위한 예산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실장은 "사업 전체 13조9000억원 가운데 1조8000억원만 지방(예산)이고 나머지 12조1000억원가량이 국비다"라며 "(국비에서) 8조1000억원을 먼저 내렸고, 기획재정부 협조를 구해 이달 중순 정도에 4조1000억원을 조속하게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자료=행정안전부] 2025.08.08 sheep@newspim.com 한 실장은 "(소비쿠폰 2차 지급에 앞서) 지방채 발행이 필요 충분 조건은 아니고 충분조건 정도 될 것"이라며 "(지방재정법 통과는) 9월 본회의까지 하도록 목표를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는 민생쿠폰 관련 연구용역 예산 2억원도 담겼다. 소비쿠폰 등 현금성 지원에 대한 효과를 철저하게 분석한다는 취지다. 한 실장은 "민생쿠폰 추경에 연구용역비 2억원이 담겼다"며 "과거 2020~2021년 효과가 있냐 없냐 등 많은 비판이 있었다. 연구 용역을 제대로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세정책연구원이나 KDI 등과 연구한다는 것이 행안부 현재 계획이다. 행안부는 하나로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이날 밝혔다. 그간 도서산간지역 소비쿠폰 사용처가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한 실장은 "면 단위에서 동네에 마트 등이 전혀 없는 경우가 있어 하나로마트 121곳에서 현재 사용 가능하다"면서도 "현장을 가 보니 마트가 있어도 너무 영세해 고기나 채소 등 신선식품을 사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현재 시장·군수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하고 있고, 빠른 시일 내로 하나로마트 사용처를 추가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실장은 또 "추가 소비 진작 대책을 관계부처와 많이 만들고 있다"며 "행안부는 수도권 기업, 공기업, 관공서 등과 비수도권 간 자매결연을 맺는 소비진작 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8-08 16:1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