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종합병원 승격 서울케어 현판식 개최
11조 사회복지 아우르는 통합 사회복지 브랜드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서울시가 사회복지 통합 브랜드인 ‘서울케어’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의료·건강·사회복지·아동·가족 등 사회복지 정책 및 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시스템이다.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 전단력을 확대함과 동시에 박원순 시장이 치적으로 삼는 사회복지 분야를 한눈에 알 수 있는 ‘박원순 홍보전략’ 브랜드 작업에 돌입했다는 분석이다.
서울시는 4일 ‘서남병원 종합병원 승격 기념식’에서 ‘서울케어 통합브랜드 현판식’을 개최하고 12개 시립병원 중 처음으로 서남병원에 서울케어를 적용했다.
![]() |
| [사진=서울시] |
서울케어는 3월 5일 첫 선을 보인 서울시의 통합 사회복지 브랜드다. 의료·건강·사회복지·아동·가족 등 사회복지 정책을 관통함과 동시에 이를 시민들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서울시 주요 사회복지 시설에 통일된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적용하는 건 시민편의를 위한 결정이다. 검색 한번으로 주요 정책 및 서비스를 한눈에 제공하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약 6000만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 포털을 서울케어를 알리는 온라인캠페인도 19일까지 진행한다.
사회복지는 ‘3선 서울시장 박원순’의 최대 성과다. 민선6기 시민 평가에서도 복지·건강에 대한 만족도가 19.3%로 가장 높았다. 예산 역시 올해 기준 사회복지가 11조1574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35% 가량을 차지한다(순계기준).
2012년 19조9496억원이었던 서울시 예산은 20조6287억원(2013), 21조5498억원(2014), 22조8427억원(2015), 24조2350억원(2016), 26조3017억원(2017), 28조179억원(2018)를 거쳐 올해 31조8811억원까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사회복지 예산은 5조1658억원(2012), 6조285억원(2013), 6조8425억원(2014), 7조8349억원(2015), 8조3452억원(2016), 8조7735억원(2017), 9조6597억원(2018)에 이어 올해는 사상 첫 10조를 넘어 11조1674억원까지 늘었다.
![]()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7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서울케어–건강돌봄 선포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9.03.07 mironj19@newspim.com |
세부정책 측면에서도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집중도는 높다.
서남병원이 대표적인 시립병원 기능재정립과 인프라 확대를 비롯해 지역검강돌봄 보건지소 확중, 서울형 유급병가 도입, 사회서비스원 설치, 온마을돌봄 우리동네키움센터 신설, 민간어린이집 무상보육, 아동수당(만 7세 미만) 전면 지급 등이 서울케어의 핵심 정책들이다. 박 시장이 생활정책 분야에서 복지전문가로 평가받는 이유다.
서울케어는 이런 박 시장의 사회복지 정책과 이에 따른 성과를 종합하는 전략적 브랜드로 풀이된다. 그간 산발적으로 배치돼 한눈에 들어오지 않았던 다양한 서비스를 한곳에 모아 정책 효율성이 높이고 시민들에게 통합 시스템을 각인시킨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특히 서울케어가 정착된다면 박 시장의 정책 성공 사례를 확인하는 대표 케이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소상공인=제로페이’, ‘도시재생=서울로7017’ 등과 함꼐 ‘복지=서울케어’와 같은 상징적인 이미지 구축이 가능해 이를 위한 브랜드 구축이라는 평가다.
서남병원 서울케어 통합브랜드 현판식에 참석한 박 시장은 “앞으로 서울시의 모든 보건·의료·복지서비스를 서울케어로 통일해 병원에서 가정까지 촘촘한 돌봄서비스를 구축,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peterbreak2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