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운상가를 차은 박명수(위), 로봇 만들기에 도전한 예술가들과 기술장인들 <사진=SBS> |
[뉴스핌=이현경 기자] 'SBS 스페셜'이 개그맨 박명수와 함께 세운상가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에 대해 알아본다.
4일 방송하는 'SBS 스페셜'에서는 서울 종로구의 세운상가로 향한다. 세운상가는 서울 도심 한복판, 복원된 청계천 주변에 있다. 약 1km 길이의 세운상가는 '세계의 기운이 이곳으로 모이라'는 뜻을 담은 대한민국 최초의 주상복합 건물이다. 1970년대 판 타워팰리스라 불린 이곳은 한국 전자 산업의 메카로 크게 호황을 누렸고 최고급 기술자들이 이곳으로 모여들면서 탱크, 잠수함, 인공위성도 만들 수 있다는 풍문이 있을 정도였다.
세운상가에서는 굴지의 기업들이 많이 탄생했다. 현대차 그룹은 1968년부터 1973년까지 세운상가에 둥지를 트고 현대차 초기모델인 코티나와 포니를 탄생시켰고 정몽구 회장이 설립한 현대모비스도 1977년 세운상가에서 현대정공이란 간판을 내걸고 사업을 시작했다.
한국 소프트웨어(SW) 업계 자존심으로 통하는 한글과컴퓨터의 ‘아래아 한글’ 워드프로세서는 1989년 세운상가에서 유통을 시작해 지금도 국내에서 최대 점유율을 고수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 홈 네트워크 부분 1위 업체로 성장한 코맥스와 국내 최초 PC업체로 잘 알려진 TG삼보 또한 세운상가에서 그 역사를 시작했다.
1980년대 청춘들에게 세운상가는 어떤 의미였을까? 호기심과 궁금증으로 가득 찬 청춘들에게 세운상가는 마치 사막 속 오아시스와 같은 존재였다. 외국의 대중음악을 듣고 싶지만 주머니 사정이 녹록치 못한 젊은이들은 소위 ‘빽판’이라고 불리는 불법복제 LP판을 통해 들었고 군부독재시절에는 이곳에 들러야만 금지된 곡을 들을 수 있었다. 세운상가는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아카이브와 같은 역할을 해낸 추억이 깃든 장소인 것이다.
![]() |
'SBS 스페셜'에서 세운가의 모습을 담는다. <사진=SBS> |
하지만 1980년 후반 용산전자상가가 완공되고 서울의 중심이 강남으로 옮겨가면서 세운상가는 점점 잊혀지게 됐다. 그런데 다시 이곳에서 '시작'을 알리는 소리가 울렸다.
한국 전자 산업의 메카였던 세운상가 일대에는 미로처럼 구불거리는 길 안에 지금도 수많은 점포들이 남아있다. 수십 년 경력의 기술 장인들을 찾는 손님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TV, 라디오와 전화기, 카세트와 비디오 등 단종된 제품까지 이곳에서 수리되어 나가고 있다. 특히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쉽게 볼 수 없는 저렴한 월세로 스타트업 기업을 시작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이곳을 찾는 창업자와 기업, 젊은 작가들이 늘면서 세운상가는 하나의 메이커 문화의 메카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엔 기술 장인들의 기술력과 세운상가를 찾은 젊은 예술가들의 도전이 시작됐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합쳐 높이 3m의 최신기술을 접목한 로봇 만들기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성과는 방송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개그맨 박명수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전자 산업의 역사가 담긴 세운상가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새롭게 탄생할 새로운 미래는 4일 밤 11시5분 방송하는 'SBS 스페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이현경 기자(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