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미만 화장률 94.5%, 60대 이상 77.5%
[세종=뉴스핌 이진성 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지난해 전국 화장률이 80.8%로 최종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지난 1994년 화장률 20.5%에 비해 약 4배 증가한 수치다.
특히 젊은 사망자일수록 화장률이 높았는데, 20대 사망자의 화장률은 96.6%에 달했다. 60대 미만의 화장률은 94.5%였고, 60대 이상은 77.5%수준이다.
여성보다는 남성의 화장률이 높았다. 남성은 사망자의 83.5%, 여성은 77.5%가 화장을 택했다.
![]() |
| <자료=보건복지부> |
시·도별 화장률에서는 부산의 화장률이 90.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인천 90.2%, 울산 88.1%, 경남 87.1% 등 순이다. 화장률이 낮은 지역은 제주 64.2%, 충남 65.6%, 전남 67.6%, 충북 68.3% 등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의 화장률은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86.9%로, 비 수도권 지역의 평균인 76.8%보다 약 10.1%p 높았다. 서울과 부산 등 8개 특별·광역시의 화장률은 86.2%로, 그 외 도(道) 지역의 평균인 77.2%보다 9.0%p높게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 전국 229개 시·군·구 가운데 화장률이 가장 화장률이 높은 지역은 경남 사천시로 화장률이 98.3%에 달했다. 그 다음으로 경남 통영시 95.3%와 부산 동구 94.5% 등 순이다.
화장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충남 청양군으로 41.9%, 전남 장흥군 45.7%, 경북 영양군 47.6%, 경북 봉화군이 47.9% 등이다. 화장률이 높아지면서 화잘관련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화장시설은 지난 9월 말 개원한 구미시추모공원을 포함해 총 58개소로, 화장로는 총 335개가 공급돼 있다. 연간 사망자 수와 비교할 때 국내 화장시설은 부족하지 않지만, 서울과 경기도 등 일부 지역은 화장시설 부족으로 장거리 이동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난 2005년 화장률이 매장률을 넘어선(2005년 화장률 52.6%) 이후에 연평균 약 3%p씩 화장률이 증가해 화장률이 선진국 수준인 80%를 넘어섰다"면서 "매장에 비해 쉽고 깨끗하고 위생적인 관리, 간편한 절차와 저렴한 비용 등으로 화장률이 더욱 증가할 것을 대비해 화장관련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인프라 확충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올해 1월부터 장례식장 이용자가 해당 시설을 이용하기 전에 장례용품의 품목별 가격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가격표를 영업장과 '장사정보시스템(e-하늘)'에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법인묘지와 봉안시설, 자연장지 등 사설장사시설까지 확대해 가격정보를 등록게시하도록 해 소비자들의 합리적 선택과 장사시설 간의 건전한 가격경쟁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뉴스핌 Newspim] 이진성 기자 (jin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