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점·할당제 도입…지방대학 취업스터디 우후죽순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5일 오후 2시4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 전남지역에 위치한 한 대학에는 공기업 취업을 목표로 하는 스터디그룹 숫자가 올해 부쩍 늘었다. 지난해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해 공기업들이 대거 이전하면서 지역인재 채용을 늘리자 취업준비생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전 역시 올해 지역대학들을 찾아가 10여 차례 취업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는 매번 자리가 없을 정도로 학생들에게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공공기관들이 지방으로 본사를 이전한 후 지역인재 채용을 확 늘렸다. 가산점과 할당제 등 채용과정에서 해당지역 출신 인재를 우대하는 제도를 도입했고, 지원자도 크게 늘어난 결과다.
5일 뉴스핌이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등을 비롯한 주요 공기업의 채용현황을 조사한 결과 공기업들이 지방이전 후 지역인재 채용비율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참조).
◆ 한전·가스공사 10% 첫 돌파…석유공사도 두배 급증
지난해 말 광주·전남혁신도시(나주)로 이전한 한전은 신입사원 채용시 이전지역 출신에 대해 서류전형에서 3%의 가산점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해 753명 중 53명(7%)에 불과했던 광주·전남 출신 채용비율이 올해는 1000명 중 110명(11%)로 크게 늘었다(그래프 참조).
한전과 같이 나주로 이전한 전력거래소 역시 서류전형시 가산점 3%를 지역인재들에게 부여한다. 그 결과 지난해 10% 수준이었던 지역인재 비율이 올해는 33%로 높아졌다.

지난해 9월 대구혁신도시로 이전한 가스공사도 대구·경북 출신 채용이원이 지난해에는 185명 중 15명(8%)였지만 올해는 49명 중 6명(12.2%)이었다. 전체 채용인원이 줄었지만 서류전형에서 가점을 주면서 지역인재 비율이 높아졌다. 가스공사는 향후 지역인재 채용 할당제도 도입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울산으로 이전한 석유공사 또한 지역인재 채용비율이 3.3%에서 6.3%로 두 배로 늘었다. 6%의 할당제를 적용한 결과다.
지난해 울산으로 이전한 동서발전도 필기전형에 지역출신 가점을 3%에서 5%로 높였다. 그 결과 지역출신이 1.4%에서 12.2%로 크게 늘었다.
대구로 이전한 산업기술평가관리원 또한 10%의 할당제를 적용하면서 지역출신 채용 비율이 9%에서 15%로 늘었다.
한전 관계자는 "올해 지역대학의 요청으로 취업설명회를 15회나 개최했는데 매번 자리가 없을 정도로 관심이 뜨거웠다"면서 "공기업 취업을 목표로 하는 스터디그룹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 전기안전공사 15%·원자력환경공단 20% 할당제 파격
원자력환경공단과 전기안전공사 등 일부 공기업들은 파격적인 수준의 할당제를 적용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전주로 이전한 전기안전공사는 서류전형시 가점 5%에 15%의 할당제를 적용하고 있다. 당초 10%를 할당할 계획이었으나 15%로 더 높였다. 그 결과 지난해 11.6%였던 지역인재 비율이 올해는 18.8%까지 높아졌다.

경주시가 방사능폐기물처리장 유치를 확정하면서 2011년 일찍이 경주로 본사를 이전한 원자력환경공단은 지방이전 공공기관의 미래를 앞서 보여주고 있다.
2009년 설립 당시부터 신입직원의 20%를 이전지역에 할당해한 이후 채용문화로 자리를 잡았다. 최근 5년간 지역인재 채용률이 평균 36.6% 수준에 이르고 있다.
전기안전공사 관계자는 "지역사회와 함께 하겠다는 경영진의 의지로 지역인재 할당제를 10%에서 15%로 높였다"면서 "앞으로 유능한 지역출신 인재들이 더욱 많이 지원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 관계자는 "지방이전 공공기관들이 이전지역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지역인재 채용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당초 정부가 목표했던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노력"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공기업들이 채용시 지역인재로 구별하는 기준은 최종학력(대학원 제외)이 해당 광역자치단체 소재 학교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