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종달 골프전문기자]미스샷을 하면 헤드업을 떠올린다. 그리고 다음 샷을 위해 머리를 고정시키려 기를 쓴다. 이 결과 어깨는 굳어진다. 몸이 나무토막처럼 변한다. 결국 미스샷의 늪에 빠진다.
모든 미스샷이 헤드업의 결과는 아니다.
힘차게 때린 볼이 의도한 대로 날아가지 않고 미스샷이 되면 헤드업의 결과로 생각한다. 몰론 그럴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스윙의 메커니즘을 몰라서 그렇다. 스윙의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사실 헤드업은 어쩔 수 없는 것이다. 스윙 중 헤드업을 할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헤드업은 스윙 중 필수적인 머리동작이기 때문이다. 다만 머리를 들지 않아도 될 데서 드는 게 문제다.
미스샷의 많은 원인 중에 하나가 헤드업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이를 모두 헤드업으로 돌리는 것은 잘못이다. 스윙에 자신이 없는 골퍼일수록 자신이 친 볼이 잘 날아가는지 알고 싶어한다. 그래서 볼을 때리자마자 머리를 들고 볼을 쳐다본다.

바로 이런 헤드업이 문제다. 신체구조상 어쩔 수 없이 머리를 들어야 하는 것까지 미스샷의 원인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 이미 때린 볼은 쳐다본다고 똑바로 날아가지 않는다.
스윙의 과정을 살펴보면 폴로스루 다음이 스윙의 마지막 단계인 피니시다. 이때 양측 어깨의 좌회전으로 머리도 왼쪽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룩업(look up)이라고 한다. 이 동작 직후 우리 몸은 이제까지 스윙 축을 그대로 유지한 채 그 이상 좌회전 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른다.
폴로스루 단계까지 우리 몸은 축 회전 중심을 유지한 채 스윙이 가능하나 이후엔 이 축의 고정이 신체적으로 불가능한 까닭이다.
따라서 룩업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될 수 있으면 헤드업을 하지 않는 게 좋다. 그래야만 미스샷도 줄일 수 있다. 바로 룩업 이전까지는 우리의 연습과 의지에 의해 헤드업을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뉴스핌 Newspim] 이종달 골프전문기자 (jdgolf@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