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아우디, 제네바 모터쇼서 ‘뉴 R8' 등 7개 모델 최초 공개

기사입력 : 2015년03월03일 17:53

최종수정 : 2015년03월03일 17:53

[뉴스핌=강효은 기자] 아우디가 ‘2015 제네바 모터쇼’에서 총 7개의 신모델을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

3일 아우디에 따르면 아우디는 제네바 모터쇼에서 '아우디 프롤로그 아반트 콘셉트카’를 비롯해 아우디 고성능 스포츠카인 R8의 2세대 모델 ‘뉴 아우디 R8’, 아우디 SUV 모델 Q 시리즈에 처음 적용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아우디 Q7 e-트론 콰트로’,‘아우디 RS3 스포트백’을 공개한다.

▲뉴 아우디 R8

5.2 FSI엔진을 장착한 2세대 ‘뉴 아우디 R8’은 최고출력 540마력의 ‘뉴 아우디 R8 V10’과 최고출력 610마력의 ‘뉴 아우디 R8 V10 플러스’ 2가지 모델로 선보인다.

610마력의 ‘뉴 아우디 R8 V10 플러스’는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가속성능이 단 3.2초, 최고 속도는 330 km/h의 성능을 자랑한다.

새로운 2세대 R8을 기반으로 하는 다른 모델들도 함께 선보인다.

혁신적인 강력한 전기 구동력을 갖춘 고성능 전기차인 ‘R8 e-트론’은 최고출력 340 kW, 최대토크 93.9kg∙m의 성능으로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3.9초만에 도달한다.

새로운 배터리셀 적용으로 총 구동 가능 거리가 초기 모델보다 두배 이상 늘어나, 한 번 충전으로 45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레이싱카인 ‘뉴 아우디 R8 LMS’는 2016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GT3 규정에 맞춰 새롭게 선보인다.

레이싱 주행을 위해 대대적인 성능 강화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50퍼센트 가까운 부품을 양산형 R8과 동일한 부품을 사용했다.

‘아우디 Q7 e-트론 콰트로’는 아우디가 선보이는 두번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이자, 세계 최초로 V6 디젤 엔진과 상시 사륜구동 시스템 콰트로를 장착한 PHEV 모델이다.

전기 배터리만으로 56km를 운행할 수 있으며, 한 번 주유로 총 1,410km 주행이 가능하다. 연비는 유럽 기준으로 58.8km/l (CO2 배출량 50g/km 이하)다.

‘뉴 아우디 RS 3 스포트백’은 최고출력 367마력으로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성능의 프리미엄 컴팩트 모델이다. 2.5 TFSI 엔진과 7단 S트로닉 자동 변속기, 상시 사륜구동 콰트로의 결합으로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4.3초만에 돌파하고, 최고 속도는 280 km/h에 달한다.

 



[뉴스핌 Newspim] 강효은 기자 (heun20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