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영화 스틸컷 |
자말은 감수성 풍부한 흑인 소년이다. 농구도 잘하고 공부도 잘하고 글도 잘 쓴다. 한창 호기심 많은 나이, 친구들과 몰래 그 집에 들어간다. 아무도 없을 것만 같은 집에 누군가가 불쑥 튀어나오자, 자말은 자신의 가방도 챙기지 못하고 도망친다. 그 이후 어떻게 된건지, 자말은 궁금하다. 어제 몰래 들어간 그 집 창가에 자신의 가방이 걸려 있고, 마치 자신을 안다는 듯 누군가가 자신을 향해 가방을 던진다.
운명이라는 것이 존재하는지, 인연이라는 것이 존재하는지 알 길은 없으나, 자말은 운명과 같은 이끌림으로 그의 집을 찾아간다. 그 집에 사는 듯한 누군가가 작은 문틈으로 자말을 확인하고 문을 닫는다. 괴팍하기 짝이 없는 늙은이! 그러나 그는 자말이 평소 좋아하고 존경하던 작가 ‘윌리엄 포레스터’였다.
그의 제자가 되고픈 자말은 그를 다시 찾아가지만, 냉담하게 거절당한다. 그러나 자말이 디밀고 넣고 간 글을 읽은 포레스터는 웬일로 문을 열어준다.
포레스터는 손자뻘의 자말의 재능을 발견하고 그를 받아들인다. 둘은 세대를 뛰어넘어 우정을 쌓아가며 서로에게 부족한 부분을 채워준다. 늘 혼자 술이나 홀짝이며 잠에 빠진 포레스터를 바라보던 소년은 그에게 담요를 덮어준다. 그리고 그 다음날 외출을 제안한다. 집이라는 좁은 공간을 벗어나 본적이 거의 없었던 포레스터는 처음에 문밖으로 발을 딛기조차 망설였지만, 어린 소년친구의 손을 잡고 외출을 감행한다. 오랜만의 외출이 순조로울리 없다. 길을 잃고 헤메다가 그는 숨을 거칠게 몰아쉬며 쓰러진다. 겨우 정신을 차린 후, 자말이 그를 발견한다. 그에게 의진한채 간 곳은 아무도 없는 축구장. 탁트인 넓은 공간에서 처음으로 그는 자유를 느낀다. 그리고 처음으로 자신의 사생활에 대해 이야기한다.
사고로 동생과 가족 모두를 잃고 그는 세상밖으로 숨어버린 것이다. 고작 수십 평에 불과한 작은 공간에 자신을 스스로 강금하고 가족의 죽음에 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말하지 않고 속으로만 숨기고 있던 사실을 이야기로 풀어 놓는 순간, 그 무게가 달라진다. 고통스럽고 힘든 이야기지만 이야기로 풀어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가족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으로 평생 자신을 가두고 살아왔던 한 남자의 슬픔이 고스란히 전해졌기 때문일까... 나도 모르게 자꾸 눈물이 나왔다. 영화는 소란스럽지도 않고 아무도 울지 않는데, 보는 관객의 눈에는 눈물이 고이게 했다. 작품을 통해 두 사람은 서로의 우정을 확인하지만, 서로 극복할 수 없는 것이 하나 있었다. 포레스터에겐 시간이 많이 남아있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자신의 친구이자 제자인 자말에게 자신의 작품들을 남기고 인생을 마감한다.
영화는 세드 앤딩도 해피 앤딩도 아닌 포레스터의 죽음과 자말의 삶이 공존하면서 결말을 맺는다. 좀 더 감동적이고 훈훈한 마무리를 기대한 사람들은 이 결말에 다소 의아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자말을 위해 자신의 핸디캡까지 극복하고 학교에 가서 자말을 변호해주던 포레스터가 갑자기 집을 떠나 2년째 소식도 없다가 유언만 남기고 죽었다...는 결말은 영화에서 두 사람이 끈끈하게 맺어온 우정에 비해 너무도 어이없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자신이 아끼는 작품을 남기기는 했지만, 그러나 포레스터와 같은 회피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이라면 이런 결말이 오히려 훨씬 더 사실적이고 현실적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포레스터는 ‘가족의 죽음’이라는 극심한 고통속에서 살아왔다고는 하나, 그 동안 대인관계가 전무하고 결혼도 안하고 독신으로 평생을 살아왔다. 그는 자신을 위해 야구 경기장을 데려가고 자신이 공황장애로 쓰러져 있을 때, 자신을 찾아 달려온 자말에게 ‘고맙다’라는 말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잘가’라는 말도 안하고 문을 쾅하고 닫는다든지 사회적 기술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주변머리가 없어도 너무 없다.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이 필요하며, 상대에게 어떻게 행동하고 자신의 생각을 어떻게 전달해야하는지에 대한 지식수준이나 기술은 초등학생 수준이다. 그런 그의 사회성이나 성격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병에 걸리고도 유일한 친구인 자말에게 편지 한통 안보내고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고 자신이 그 동안 써온 작품을 아무 대가 없이 자말에게 남기는 것 또한 평범한 사람으로써는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들이다. 그에게 자말처럼 관심을 가져주고 심리적으로 지지해주는 사람이 있었다면, 좀 더 빨리 세상 속으로 나올 수 있었을 것이다.
회피성 인격장애는 ‘사회공포증’과 공통점이 많은데 ‘사회공포증’이야 말로 적절한 개입만 있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혹시 내 주변에 아님 스스로 이런 문제가 있다면, 숨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왜냐하면, 즐기고만 살기에도 삶은 너무 짧기 때문이다.
►파인딩 포레스터
- 2000, 감독- 구스 반 산트, 출연- 손 코네리, 롭 브라운
- 자말은 문학적 재능을 가진 흑인 소년이다. 박학다식하고 자기 주장이 뚜렷하지만, 자신이 흑인이기 때문에 사는게 힘들다고 느낀다. 그러던 중 자신의 동네에 집에만 칩거하며 은둔하는 사람이 바로 작가 윌리엄 포레스터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자신의 재능을 그로부터 확인 받고 그의 가르침을 받고자 하지만, 그는 냉담하게 대한다. 그러나 자말의 재능을 발견한 포레스터는 자신의 얘기를 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자말을 받아들이고 둘은 나이를 뛰어넘는 우정을 쌓아간다. 일취월장한 자말의 능력을 의심한 선생님에 의해 위기를 맞지만, 포레스터는 친구를 위해 자신의 존재를 밝히며, 두 사람의 관계를 밝힌다. 포레스터는 자신의 고향으로 향하고, 2년후 자말에게 편지를 남긴다. 그는 이미 암으로 세상을 떠난 후였다. 영화는 소란스럽지 않은 잔잔한 감동을 전달해준다.
박소진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장('영화 속 심리학'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