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기락 기자] LG유플러스는 서울 금천구 독산 사옥에서 와이파이(Wi-Fi) 주파수 대역을 LTE로 활용, 기존 LTE 주파수와 묶어 LTE보다 4배 빠른 속도가 가능한 ‘LTE-U(LTE in Unlicensed spectrum)’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이를 시연하는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LTE-U는 기존의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을 LTE 주파수로 활용하여 LTE 주파수 대역을 대폭 넓히는 효과가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에 LTE-U 기술을 이용하여 와이파이 주파수인 5.8GHz 대역 20MHz폭과 2.6GHz 광대역 LTE 20MHz폭을 묶어 총 40MHz폭(다운로드 기준)으로 최대 300Mbps의 속도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타사가 와이파이 AP신호와 LTE 기지국 신호를 물리적으로 묶는 와이파이+LTE 이종(異種)망 묶음기술을 선보인 적은 있었지만,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 자체를 LTE로 활용한 LTE(와이파이 대역)+LTE(기존 LTE대역) CA기술을 선보인 것은 LG유플러스가 처음이다.
향후 이 기술이 진화돼 총 380MHz폭의 와이파이 가용 주파수와 광대역 LTE-A를 묶을 수 있게 되면 LTE를 넘어 5G 기술로 일컬어지는 기가(Gbps)급 5G 서비스 수준의 속도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서 잠재적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3밴드CA와 함께 LTE-U의 상용화도 추진해 실외 지역의 경우 3밴드 CA서비스를 제공하고, 건물 내에서는 펨토셀을 통해 LTE-U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기락 기자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