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수호 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3대 멀티플렉스 영화관(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의 매점제품 원가분석 및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 이들이 암묵적으로 가격담합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2일 밝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소비자들의 구매 비중이 가장 높은 콤보상품의 원가분석을 실시한 결과, 판매가는 8500원인데 반해 원재료가는 최대 1813원에 불과해 최소 4.7배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화관은 대량구입 및 음료제조기 이용 등으로 본 협의회의 원재료가 산정액보다 훨씬 저렴하게 제품을 공급받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실제 원재료가와 판매가격과의 차이는 이보다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조사 결과, 영화관내 매점상품까지 동일한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다. 팝콘(L) 5000원, 탄산음료(L) 2500원, 나쵸 3500원, 오징어 3000원, 핫도그 3500원 등 조사대상인 모든 제품의 가격이 세 영화관에서 동일했으며, 콤보상품도 가격이 모두 같았고 팝콘과 탄산음료의 경우 사이즈에 따른 가격까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화 관계자는 "이 처럼 매점의 제품 가격이 동일하기 때문에 멀티플렉스 3사의 가격담합이 의심되는 상황이다"며 "영화관 3사는 업체간 가격경쟁을 통해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공정위는 영화상영관 시장에 대한 업체간 담합여부를 조사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수호 기자 (lsh599868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