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권지언 기자] 올 상반기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상당 부분이 신흥국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현지시각) 공개된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상반기 중 신흥국으로 몰린 FDI는 7450억 달러로 전체의 60% 가까이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선진국으로 향한 FDI 규모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신흥국으로의 FDI 증가는 직접 투자 증가보다는 대규모 인수합병 활동 확대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다. 특히 신흥국 FDI 유입 증가세는 중미와 캐리비안 지역 내 인수합병 활동 및 러시아로의 유입 증가세 등이 견인차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시아 신흥국으로의 FDI 유입은 소폭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신흥국 전체로의 유입 규모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고, 글로벌 FDI 규모 대비로도 1/4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경우 올 상반기 FDI 유입이 76억 달러로 집계돼 1년 전보다 63.4%가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UNCTAD는 선진국의 경우 미국과 프랑스, 독일 등 주요국에서의 FDI 유입 감소가 두드러졌고, 다만 영국의 경우는 이 기간 중 749억 달러를 유치하며 국가별 FDI 규모 기준으로 1위를 차지하며 기타 선진국과의 향방을 달리 했다.
중국의 경우 670억 달러를 기록하며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FDI를 기록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기자 (kwonji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