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뱀신을 모셔두는 곳-칠성눌 |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국토지리정보원은 내년 계사년 뱀띠 해를 맞아 뱀과 관련된 지명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150만여개 지명 중 208개가 뱀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지역별로 전남이 41개로 가장 많았고 경북 32개, 경남 31개 등 주로 농경생활이 많은 남부 지방에 분포했다.
이 가운데 157개는 마을의 명칭으로 사용됐고 15개는 섬의 명칭, 14개는 고개와 산으로 쓰였다.
글자별로 살펴보면 '사동'이라는 지명이 경북 경산시 동부동의 마을 이름을 비롯해 전국에 15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뱀골'이 10개였다. 이들 명칭은 지역에 따라 '배암' '비암' '배염' 등의 이름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뱀 관련 지명은 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에 있는 '장사도'처럼 뱀의 모양과 관련된 경우가 전체의 65%(137개)를 차지했다.
뱀의 모양을 묘사한 지명 중 뱀이 개구리를 쫓아가는 지형인 '장사추와형'은 먹을 것이 풍부한 좋은 터로 풍수지리가들이 일컫는 명당의 하나로, 전남 고흥군 영남면 '사도', 충남 홍성군 홍성읍 신성리 '사성' 등이 이에 해당한다.
뱀이 공포의 대상으로 유래된 지명으로는 제주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김녕사굴', 충남 천안시 직산읍 상덕리 '덕령' 등으로 인간을 해치려는 사악한 존재로 묘사되기도 했다.
뱀의 출현 설화와 관련된 지명도 있다. 경주시 남면 구암리의 마을 이름 '구뱀이'는 귀가 달린 뱀이 나왔고 해 유래됐다. 전남 함평군 해보면 금계리 '구수재'는 아홉 마리 구렁이가 재를 못 넘어 그 자리에 주저앉았다는 이야기를 갖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지명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지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명법 제정을 추진하는 등 지명관련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