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전차관 인수위원 선임 가능설.김선덕 소장 등 시장 참여자설도
[뉴스핌=이동훈 기자] 오는 26일부터 운영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토해양 분과위원의 인선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인수위가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틀을 짜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택 및 건설경기가 악화로 새 정부의 정책에 관심이 커진 상태여서 인수위 참여자에 대해 시장의 관심은 팽배해진 상태다.
하지만 인수위 구성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관가나 시장에선 인수위 참여자에 대한 소문만 일부 흘러나올 뿐 방향을 잡을 수 없는 상태다.
우선 정창수 전 국토부 차관 등이 국토해양분야 인수위원 선임설이 나돌고 있지만 일단 정가(政街)나 관가(官街)에서는 모두 입을 다물고 있는 실정이다.
박근혜 당선인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오는 26일 인수위원장 선임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전망이다. 박 당선인 측은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꾸린 인수위 규모(약 180명)보다 적은 120명 선으로 구성된 인수위원회를 꾸릴 예정이라고 밝힌 가운데 인수위 인선은 '철통 보안'에 놓인 상태다.
지난 2007년 17대 대선 직후 구성된 이명박 대통령의 인수위에서 국토해양 분야는 분과장격인 인수위원 1명과 5명의 실무자가 참여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박 당선인의 '작은 인수위'론에 따라 이보다 적은 수의 참여자가 나올 것으로 국토부는 내다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인수위원장 인선도 안나온 만큼 현재로선 국토해양 분야 인수위 구성은 전혀 알 수가 없다"라며 "다만 전체적인 인수위 규모가 전 정부보다 3분의2 정도 줄어든데다 17대 만큼 부동산이 관심이 없는 만큼 국토해양 분야 인수위 조직도 규모가 축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17대 당시 이명박 당선인 인수위는 최재덕 현 해외건설협회 회장을 경제2분과 인수위원으로 선임해 주택, 한반도대운하, 과학비즈니스벨트 등 분야에서 담당자를 차출해 인수위를 구성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주거복지와 지역 개발 공약을 담당할 2개 정도 분야에서 많아야 4명 정도가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분과 인수위원으로 거론되고 있는 인사는 정창수 전 국토해양부 1차관이다. 정 전차관은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 산하 지역발전추진단에서 추진위원으로 활약하며 박 당선인의 지방공약 수립과 특히 행복주택 구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꼽힌다.
하지만 박 당선인이 대탕평 인사를 인수위부터 추진한다는 의지를 보인 만큼 전형적인 박 당선인의 사람인 정 전차관이 인수위원이나 초대 국토부 장관으로 입각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인수위 구성은 아직 원칙만 알려져 있는 상태라 인선까지는 공개가 되지 않았다"라면서 "다만 대탕평 인사 방침에 따라 당선인에게 공적이 있다는 이유 만으로 인수위원이나 차기 정부 내각에 참여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부 인사중심으로 구성되는 자문단도 관심 꺼리다. 자문단은 대탕평 인사와는 상관이 없는 조직인 만큼 박 당선인이 구성한 주택부동산TF(태스크포스)팀에 몸을 담았던 전문가들 중에서 선임될 가능성이 높다.
새누리당 주택부동산TFT는 서승환 연세대 교수를 단장으로 김정훈(영남대), 남희용(주택산업연구원), 하성규(중앙대), 김선덕(건설산업전략연구소), 권대중(명지대), 김갑성(연세대) 등으로 구성됐다. 이중 김선덕 소장이나 남희용 원장의 자문단 참여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