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지난해 국제여객선 수요는 일본 동북대지진 영향으로 한-일 항로가 대폭 감소해 전체 수송 실적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중항로는 역대 최고실적을 기록했다.
10일 국토해양부는 2011년도 국제여객선 수송실적을 조사한 결과 여객 수송은 270만2000명으로 전년(277만명)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화물은 전년(58만1000TEU)보다 5.8% 증가한 58만1000 TEU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여객 및 화물 수송 모두 연초 완만한 상승세로 출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10년도의 실적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됐으나, 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하락세로 전환해, 한-중항로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수송실적은 전년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항로는 여객 170만8000명, 화물 43만4000TEU를 수송,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같은 한-중항로의 여객 성장세를 견인한 주요 요인은 중국 단체 여객의 꾸준한 증가(24.4%)를 꼽을 수 있다.
특히 전년에 이어 꾸준히 높은 성장곡선을 유지하고 있는 인천-단동항로, 인천-대련항로 등의 실적은 주목할 만하다.
한-중 간 화물 수송 또한 2010년에 이어 2년 연속 성장세(8.6%)를 유지했다. 해운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선사들의 틈새시장 공략 및 신규화물 유치 노력 등으로 인해 로컬물량이 감소한 대신 환적화물 수송이 증가했다.
반면 한-일항로는 국내여객의 일본여행 기피, 엔고 등으로 인해 전년에 비해 22.6% 감소한 94만9000명 수송에 그쳤다. 다만, 화물 물동량은 10만8000 TEU를 수송해 하락폭(3.7%)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토부 관계자는 세계적인 해운불황 및 지속적인 유가상승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여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대지진 이후 침체된 일본경기 회복이 예상되므로 올해 국제여객선을 통한 수송은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올해에는 속초-블라디보스톡항로의 재개, 국적크루즈선 취항 및 여수 엑스포 등이 예정돼 있어 새로운 여객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및 러시아 간에는 총 21개의 국제여객항로가 개설돼 있으며, 이 중 한-중 간에는 15개 항로 15척이, 한-일 간에는 5개항로 14척이, 한-일-러 간에는 1개항로 1척의 국제여객선이 운항되고 있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
[AI의 종목 이야기] "회사채 시장, '빅테크 AI' 발행 물량 소화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