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최주은 기자] GS건설(대표 허명수)은 29일 ‘중동의 MIT’라 불리우는 사우디 KAUST(킹압둘라과학기술대학교, 이하 카우스트)大에서 발주한 ‘그린빌딩 연구’ 용역을 수주, 중동지역에 그린빌딩 기술 수출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그린빌딩 연구 용역 업체 선정에는 미국 애이콤(AECOM)社, 독일 슈나이더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社 등 10여개의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으며 이 가운데 GS건설이 최종 연구개발 기업으로 선정됐다.
GS건설은 오는 2012년 8월까지 빌딩 냉난방 에너지 저감, 친환경 건설 소재, 물 재이용, 폐기물 저감 등 첨단 친환경건축 기술을 사우디 및 걸프지역에 적합한 현지맞춤형 기술로 개발, 향후 카우스트 대학內 빌딩 및 주거단지에 실증 실험을 거쳐 최종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할 방침이다.
대표적인 미래 사업분야로 손꼽히는 그린빌딩 산업은 건축·환경 설비, 에너지 관리·절감 기술, 신재생에너지, 정보시스템 등 각 분야의 기술이 집약되는 기술융복합 산업으로 세계 그린빌딩 시장 규모는 리모델링 시장을 포함, 약 800조원 규모에 달한다.
또한 현 그린빌딩의 단점으로 꼽히는 고비용 문제는 세계 각국 정부들이 앞다퉈 그린빌딩 산업의 육성을 위한 보조금 지원, 세제 혜택, 저리대출 제도 등 다양한 제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 |
GS건설과 사우디 카우스트 대학은 지난해 9월 신사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에 대한 공동협약을 맺고 그린빌딩, 해수담수화 연구 등 신사업에 대한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사진 왼쪽 이영남 GS건설 기술본부장, 사진 오른쪽 아민 알시바니 카우스트 대학 부총장. |
이영남 GS건설 기술본부장(CTO)은 “당사의 그린빌딩 기술을 현지화하게 될 사우디 및 두바이, 카타르 등 걸프지역은 최근 그린빌딩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이번 그린빌딩 기술 수출을 통해 향후 중동 지역 그린빌딩 시장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GS건설은 지난해 9월 사우디 카우스트대학과 산학협력을 맺고 해외거점 연구소를 운영 중에 있으며, 이곳에서 해수담수화,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신성장동력 사업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인기기사] 주식투자 3개월만에 `20억아파트` 샀다!
[뉴스핌 Newspim] 최주은 기자 (jun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