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사헌 기자] 지난 주말 미국 국채시장은 예상보다 크게 취약한 고용보고서 호재로 랠리를 보였다. 연방준비제도가 내년까지 계속 초저금리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렸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국채시장은 8월 2일 시한까지 의회가 국채 발행한도 확대에 합의할 것이란 굳건한 믿음 위에 거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합의 시한이 빠르게 다가 오면서 이런 믿음에 균열이 간다면,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8일 뉴욕 채권시장의 10년물 재무증권 가격은 '원빅(1포인트)' 급등, 수익률은 3.14%에서 3.02%까지 급락했다. 30년물 재무증권 가격도 1포인트 넘게 오르면서 50일 이동평균선이 지남과 동시에 지난 1년 간 금리 상승 구간의 38.2% 되돌림 구간인 4.28% 수익률을 시험했다. 목요일 4.37%에서 후퇴한 것이다.
시장 참가자들은 공화당과 오바마 정부가 견해 차이가 크기는 하지만, 최근 "건설적인 논의를 했다"는 오바마 대통령의 발언에 기대를 걸고 있다. 국채 발행한도 확대는 결국 재정지출 축소나 세율 인상 등의 패키지 형태로 나올 것인데, 이는 단기적으로 경제에 부정적인 재료이기 때문에 국채 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다.
도이체방크의 프라이빗웰스매니지먼트 소속 전무이사인 개리 폴락은 "경제가 취약한 가운데 하반기로 접어들었고, 의회는 재정지출 감축과 세제 개편 등을 포함한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한 채 공전하고 있으나 결과적으로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결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지난 수개월 동안 시장 참가자들은 유로존 채무 위기와 미국 경기 둔화 양상에 주목했을 뿐, 정치권이 채무 한도 확대에 합의하지 못하는 사태에 대해서는 크게 우려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 시한이 가까워진 지금에는 돌발 사태를 감안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하트포드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그레그 맥그리비 대표는 "미국 정부가 채무 이행을 못할 위험은 작기는 해도 만약 그런 사태가 발생한다면 시장의 충격이 클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과민증세가 잠재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맥그리비 대표는 충격은 단기에 그칠 것이지만 투자자들이 독일이나 캐나다 국채로 이탈하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크게 상승하는 것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5년물 국채 디폴트에 대한 보험 비용, 즉 신용디폴트스왑(CDS)프리미엄은 지난주 목요일 56bp까지 상승하며 1년 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독일 CDS프리미엄을 상회했다가 주말에는 고용보고서 약세에 따른 의회 합의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50bp로 후퇴한 상황이다.
지난주 목요일 핌코(PIMCO)의 모하메드 엘-에리언 최고경영자(CEO)는 8월 초까지 국채 발행한도 증액에 실패한다면 금융시장은 미국 주식과 채권 그리고 달러화를 동시에 매도하면서 금과 같은 안전자산이 수혜를 입게 될 것이란 관측을 내놓았다.
한편 국채 전문가들은 재정지출 축소 결정이 단기적인 경우 경기 둔화 요인이 되어 채권시장의 우호적인 재료가 될 수 있지만, 뒤로 갈수록 부담이 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지난 주말 고용보고서 발표 이후 국채 시장의 랠리 속에서 30년물 국채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이는 수익률곡선 기울기를 가파르게(steepening, 스티프닝)하는 결과를 낳았다.
TD 시큐리티즈의 리처드 기훌리 전략가는 "비록 미국이 디폴트에 빠질 위험은 거의 없다고 보지만, 그런 불안감이 강해질 수록 만기 10년짜리 이상은 매수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면서, "디폴트 시한이 가까워질 수록 만기가 긴 국채가 흔들리면서 매도압력에 노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주 미국 재무부가 수요일 21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국채 발행을 재개하고 목요일에 130억 달러 30년물 국채도 추가 발행할 예정이어서, 장기채 수요가 어떤 모습을 보일지 주목된다. 특히 연방준비제도가 추가 양적완화(QE2) 정책을 종료하고서 처음 장기채 입찰이기 때문에 더욱 관심이 높다.
[뉴스핌 Newspim]김사헌 기자(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