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채애리 기자] 서울시가 안전한 농산물 생산·공급 체계 마련을 위해 '출하전 잔류농약 검사 서비스제'를 시행한다.
16일 서울시(시장 오세훈)는 산지에서부터 안전한 농산물이 생산·공급되는 체계를 마련하고자 시내 지역 단위농협과 공동으로 도심에서 생산되는 채소류에 대한 '출하전 잔류농약 검사 서비스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서울시가 총괄하고 농수산물공사, 지역 농협 등이 참여한다. 농수산물공사는 출하 전 검사로 합격한 농산물이 도매시장에 반입될 경우 별도 '검사 합격 필' 표시판을 설치해 잔류농약 검사를 면제해 주고있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6월까지 농지에서 출하 전의 채소류 256건을 검사해 22건의 농약잔류 기준초과 농산물을 걸러낸 바 있다.
부적합 제품은 서울시 식품안전과에서 기준초과 정도에 따라 출하연기나 용도변경, 폐기 등을 지시하고 서울시와 농협 직원으로 구성된 시료채취반이 이행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 사업이 소비자에게는 안전성 확보, 생산자는 출하 시 부적합 판정에 대한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며 "생산·소비자 모두를 생각하는 식품안전 현장 행정서비스로 해당 농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16일 서울시(시장 오세훈)는 산지에서부터 안전한 농산물이 생산·공급되는 체계를 마련하고자 시내 지역 단위농협과 공동으로 도심에서 생산되는 채소류에 대한 '출하전 잔류농약 검사 서비스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서울시가 총괄하고 농수산물공사, 지역 농협 등이 참여한다. 농수산물공사는 출하 전 검사로 합격한 농산물이 도매시장에 반입될 경우 별도 '검사 합격 필' 표시판을 설치해 잔류농약 검사를 면제해 주고있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6월까지 농지에서 출하 전의 채소류 256건을 검사해 22건의 농약잔류 기준초과 농산물을 걸러낸 바 있다.
부적합 제품은 서울시 식품안전과에서 기준초과 정도에 따라 출하연기나 용도변경, 폐기 등을 지시하고 서울시와 농협 직원으로 구성된 시료채취반이 이행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 사업이 소비자에게는 안전성 확보, 생산자는 출하 시 부적합 판정에 대한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며 "생산·소비자 모두를 생각하는 식품안전 현장 행정서비스로 해당 농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