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연순 기자]2008 국제기업지배구조네트워크(ICGN)연차총회가 이틀째로 접어든 가운데 안젤 구리아(Angel Gurria)OECD 사무총장은 공기업 지배구조의 새로운 가이드라인 필요성을 역설했다.
19일 '글로벌 기업지배구조 개선 현황과 향후 과제' 발표자로 나선 안젤 구리아 사무총장은 "정부가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공기업의 경우 소유구조의 특수성으로 인해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위해 이를 충분히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통신 에너지, 교통 등 공기업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세계시장으로의 경쟁을 확대하고 있으며 각국의 시장 개방을 요구하고 있다"며 "시장의 효율성과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춤으로써 외부 시장에 더욱 개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구리아 총장은 국부펀드에 대해 다른 시장참여자와 구분해 달리 규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자본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시장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시장참여자가 점차 많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때마다 새로운 규제를 하는 것은 시장의 자율적 진화를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19일 '글로벌 기업지배구조 개선 현황과 향후 과제' 발표자로 나선 안젤 구리아 사무총장은 "정부가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공기업의 경우 소유구조의 특수성으로 인해 효율적인 지배구조를 위해 이를 충분히 고려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통신 에너지, 교통 등 공기업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세계시장으로의 경쟁을 확대하고 있으며 각국의 시장 개방을 요구하고 있다"며 "시장의 효율성과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춤으로써 외부 시장에 더욱 개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구리아 총장은 국부펀드에 대해 다른 시장참여자와 구분해 달리 규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자본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시장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시장참여자가 점차 많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때마다 새로운 규제를 하는 것은 시장의 자율적 진화를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