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 전주시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교통 분야의 해법으로 전주역 고속철도 확대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전주시와 전주시정연구원은 이날 우범기 전주시장, 이성윤 의원(전주시을), 교통·철도 분야 전문가와 학계, 관계기관,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 균형발전과 교통정책 비전–전주역 고속철도 증편 방향과 과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전라선(전주역) 고속열차 증편의 필요성과 전주 교통체계 발전 방향을 함께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 |
| 전라선 증편, 전주역 고속철도 확대 논의[사진=전주시]2025.11.14 lbs0964@newspim.com |
토론회에서 김관용 전주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2025 전주 교통현안 진단과 고속철도 중심 교통체계로의 전환'을 주제로 발제했다.
그는 전주시 도로망과 철도역 현황, 광역 통행량 및 수단분담률 등을 분석한 후 도로 중심의 전주권 교통체계가 철도 중심으로 전환돼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김 연구위원은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대광법)' 개정으로 전주권이 대도시권에 포함된 점을 언급하며 국가균형발전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전주 역시 철도 중심의 교통체계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향후 발표될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과 연계한 철도 인프라 확충과 광역교통체계 정비가 지역발전의 핵심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교통대학교 김현 교수는 '전주역 고속철도의 초과수요 진단과 해결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2024년 고속철도 수송 실적을 분석하며 전주역의 평일·주말별 초과수요 현황과 경부선·호남선과의 운행 형평성을 비교·분석했다.
김 교수는 전라선의 운행 편수가 수요에 비해 현저히 부족해 전주–서울·광명 등 수도권 구간의 예약 실패가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피크시간대 집중 배차와 좌석 공급 확대, 타 노선 일부 열차의 전라선(전주역) 정차 전환 등 탄력적 운행 방안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2028년 평택–오송 2복선 개통과 2031년 수서–광주선 개통 시 예상되는 SRT·KTX 운행 횟수 변화 등을 근거로 향후 전주역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KTX와 SRT 도입 이후 고속열차는 국가 광역교통망의 중심축으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전라선 증편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는 권용석 전주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김상엽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박형배 전주시의회 도시건설위원장, 이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본부장, 최준범 전주시 대중교통국장 등이 참여했다.
토론자들은 전주역 고속열차 증편의 필요성, 대광법 개정으로 확보된 제도적 기반과 광역교통 연계 방안 등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아울러서 고속열차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와 광역교통망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KTX·SRT 통합 및 평택~오송 2복선화 등으로 철도 운행계획이 재조정될 시기를 전주역 증편의 기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시와 시정연구원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전라선(전주역) 고속열차 증편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광역교통체계 개선을 위한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lbs096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