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빈 해싯 NEC 위원장 "셧다운 여파 가계조사 진행 못해"
폴리티코 "주요 지표 누락돼 연준 금리결정 등 기준 잃어"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43일간 지속된 미국 연방정부의 사상 최장기 셧다운(일시적 운영 중단) 여파로 10월 고용보고서에는 실업률이 포함되지 않을 예정이다. 이 때문에 주요 지표가 누락된 채 주요 경제정책이 결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1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취재진에 "10월에는 가계 조사(household survey)가 진행되지 않아 반쪽짜리 고용보고서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자리 지표(비농업무분 신규 일자리)는 나오겠지만 실업률 수치는 알 수 없을 것"이라며 "10월 한 달만 그렇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용보고서는 매달 노동통계국(BLS)이 발표하는 공식 경제 지표로, 미국 노동 시장의 현황과 변화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핵심 보고서다. 미국 경제의 근간을 진단하는 참고자료로, 세계 경제·금융시장에도 강한 파급력을 미다. 통상 매월 첫째 주 금요일에 발표돼 지난 7일 10월 고용보고서가 나올 예정이었다.
주요 항목은 약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업률, 고용률, 노동참여율 등을 산출하는 가계 조사와 65만 개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리(Nonfarm Payrolls) 증감, 주당 평균 노동시간, 시간당 평균 임금 등을 조사하는 사업체조사(Establishment Survey)로 이뤄진다.
폴리티코는 실업률과 노동참여율 등 가계조사 기반 통계가 누락될 경우, 연방준비제도(Fed) 역시 향후 금리 결정 등 경제정책 수립에서 중요한 기준을 잃어 "정책 결정자들이 눈을 가린 채 움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통계 결손으로 인해 정부와 시장 모두 미국 경제의 정확한 상황을 한동안 파악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해싯 위원장은 다만 10월 3일 발표될 예정이었던 9월 고용보고서는 다음 주쯤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9월 보고서는 셧다운 시작 전 통계 수집이 완료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는 또 "경제자문위원회 추산에 따르면 이번 셧다운으로 인해 주당 약 150억 달러(22조 원)의 비용이 발생했다"면서 "국내총생산(GDP)의 1~1.5%가량이 손실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주장했다.
![]() |
|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2025년 11월 13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해싯 위원장은 이어 경제 활동 위축으로 연방 공무원이 아닌 일반 국민 약 6만 명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추정했다. 앞서 골드만 삭스는 노동시장 수요 둔화 등 민간부문 고용 약세 영향으로 미국 비농업부문 신규 일자수가 10월 한 달간 약 5만 개 줄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해싯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환급금으로 미국인에게 지급하겠다고 한 2000 달러(280만 원) 배당금에 대해서는 "입법이 필요한 사안이지만, 현재까지 걷힌 관세 수입을 보면 다른 예산을 손대지 않고도 충분히 재원이 마련된다"고 주장했다.
미국 현지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수익 환급 계획에 대해 구체적인 절차, 재원 마련 방안, 정책의 지속 가능성 등 핵심 요소들이 결여되어 있다며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dczoomi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