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오염물질 시민 안전 위협"
"차수벽 설치·정화 재확인 필요"
"시, 철저한 감독체계 구축해야"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김용호 서울시의회 의원(국민의힘·용산구)은 용산 미군 반환부지와 유엔사 부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 부실 문제를 강하게 제기하며, 시민 안전을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지난 10일 도시안전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녹사평역 일대 미군부대 부지에는 수십만 톤의 발암물질이 매립돼 있으며, 이 오염물질이 지하수를 따라 유엔사 부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 |
| 질의하는 김용호 서울시의원(오른쪽)과 정성국 서울시 물순환안전국 국장 |
그는 "녹사평역과 유엔사 부지 사이 약 450m 구간은 지형상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이어져 지하 오염물질 이동이 용이하다"며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오염물질이 이동하는 데 약 20년이 소요될 수 있어, 지금 대응하지 않으면 향후 한강까지 확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무엇보다 김 의원은 유엔사 부지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가 2021년 10월26일 협의된 이후에도 차수벽 설치 등 핵심 방지대책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이 어렵다고 꼬집었다.
그는 "환경영향평가에 차수벽 설치가 명시됐지만, 실제 시공이 기준에 맞게 이뤄졌는지 재확인이 필요하다"며 "필요하다면 공사를 중단하더라도 시민 안전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물순환안전국 관계자는 "미군부지 12곳 중 8곳이 반환됐고, 4곳은 반환되지 않아 내부 조사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반환된 지역에 대해서는 매년 오염 지하수 정화작업과 오염확산 차단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지하수 오염 수치는 2004년 이후 정화작업으로 리터당 29mg에서 2.1mg으로 약 90% 감소했지만, 여전히 초과 수치가 존재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차수벽 설치 계획도 포함돼 있으며, 관련 부서에서 시공 여부를 점검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군산대 환경보건연구실의 검토 결과에서도 '지하수 수질기준을 충족하더라도 해당 부지를 안전한 주거용지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됐다"며 "환경영향평가 재협의와 차수벽 시공 실태 조사, 오염토 정화 대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서울시가 미군 반환부지 전체의 오염 실태를 종합적으로 조사하고, 환경영향평가 절차가 형식적으로 끝나지 않도록 철저한 감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 걸린 문제에 행정이 더는 소극적으로 대응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