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네이버·카카오,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업무협약 체결
민간 플랫폼 통해 국민이 대화로 공공서비스 이용 가능하도록 추진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 연내 구현 목표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와 행정안전부는 27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카카오도 함께 참여했다.
양측은 협약을 통해 국민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민간 플랫폼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AI 기술을 접목하기로 했다. 특히, 민간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연내 구현할 계획이다.
'AI 국민비서'는 복잡한 행정 절차를 거치지 않고,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 국민 수요가 높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
| 사진은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업무협약식에서 윤호중(가운데) 행정안전부 장관, 최수연(오른쪽) 네이버 대표, 정신아(왼쪽) 카카오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네이버] |
네이버는 독자 개발한 초거대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공공서비스 API와 연동해 시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범 서비스는 네이버 웹과 앱을 통해 지원되며, 이후 개인 맞춤형 추천 기능을 포함해 행정서비스의 연계성과 이용 편의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민주정부 실현을 위해서는 민간의 혁신 기술이 필수적"이라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국세청 미환급금 조회, SRT 승차권 예매 등 10여 종의 공공서비스를 이미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미래 행정서비스 혁신의 출발점으로 삼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AI 기반 공공서비스 구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