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환자의 간섬유화 및 근감소증 동시 개선…이미 임상 1상 완료
GLP-1 한계 넘는 통합 대사질환 치료 가능성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나이벡은 미국 샌디에이고 라호야의 스크립스 시사이드 포럼(Scripps Seaside Forum)에서 열리는 '제20회 펩타이드 치료학 심포지엄(Peptide Therapeutics Symposium 2025)'에서 펩타이드 신약 후보물질 '리제노타이드(Regenotide, NP-201, NIPEP-AOP)'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리제노타이드는 GLP-1 대비 지방 축적을 60% 이상 억제하고 근섬유 단면적을 2배 확대했으며, 간 섬유화 지표(α-SMA)를 50% 감소시켰다. 나이벡은 이를 통해 체중 감량 중에도 근육량을 보존·증가시키고 지방간과 섬유화까지 개선하는 통합 대사질환 치료 기전을 입증했다는 설명이다.
리제노타이드는 기존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의 부작용으로 지적돼 온 근육량 손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19개 아미노산 기반의 합성 펩타이드 신약 후보물질이다. 고지방식이(HFD)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과 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근육 내 MyoD1 단백질 발현이 GLP-1 투여군 대비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근육 줄기세포인 위성세포의 마커인 Pax7의 발현이 1.5배 이상 증가해 근육 재생이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 |
나이벡 로고. [사진=나이벡] |
또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C/EBPα, PPARγ, aP2) 발현은 대조군인 GLP-1 대비 40~60% 억제됐으며,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은 절반 이하 수준으로 줄었다. 간 섬유화 지표(α-SMA)는 고지방식이군 대비 약 70% 감소해 GLP-1 대비 약 50% 더 강한 항섬유화 효과를 보였다.
기존 GLP-1 계열 치료제는 체중 감량 효과가 크지만, 체중 감소량의 30~45%가 근육 손실에서 비롯된다는 보고가 있다(Nature Reviews Endocrinology, 2025). 반면 리제노타이드는 지방을 줄이면서 근육량을 유지·증가시켜, 체중 감량 효율은 GLP-1과 유사하지만 근육 보존 효과는 약 1.5배 높았다. 간 섬유화 지표(α-SMA) 역시 GLP-1 대비 50% 이상 낮아 지방·근육·간을 아우르는 복합 대사질환 개선 효과가 입증됐다.
NP-201은 나이벡이 독자 개발한 펩타이드 기반 플랫폼 물질로, 이미 임상 1상을 완료해 안전성이 입증된 후보물질이다. 나이벡은 올해 상반기 NP-201의 폐섬유증 관련 권리를 미국 소재 제약바이오 기업에 기술이전했으며, 비만·MASH 등 대사질환 적응증은 독자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되는 데이터는 NP-201을 비만·대사성 질환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한 전임상 결과로, 이미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적응증 확장 전략의 첫 성과로 평가된다.
국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의 약 38%가 대사 관련 지방간 질환(MASLD)을 가지고 있으며, 비만이나 제2형 당뇨병을 가진 환자에서는 그 비율이 60% 이상으로 높다(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24). 또 65세 이상 비만 인구의 약 10~15%는 근감소증(Sarcopenia)을 함께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Frontiers in Endocrinology, 2020). 이처럼 비만을 중심으로 간질환과 근감소가 함께 나타나는 복합 대사질환 환자군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환자 규모는 수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조사기관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GLP-1 기반 항비만제 시장은 2023년 약 240억 달러에서 2032년 약 1310억 달러(약 18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델브인사이트(DelveInsight)는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 시장이 2032년 약 260억 달러(약 3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리서치앤마켓츠(Research and Markets)에 따르면, 근감소증 치료제 시장은 2023년 30억 달러에서 2033년 7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리제노타이드는 이들 세 시장의 교차점에 위치한 차세대 복합 대사질환 치료제로 평가된다.
정종평 나이벡 대표는 "리제노타이드는 지방을 줄이면서 근육을 지키고, 간섬유화까지 개선하는 펩타이드 치료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며 "향후 임상에서는 근육 손실 없는 체중 감량, 나아가 근육 증가 효과까지 검증해 차세대 대사질환 치료제의 표준을 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