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운영 32억, 교통비 24억 지원
안전한 의료체계 구축 및 건강권 보장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동·북부 응급의료 및 분만 취약지 응급의료지원을 위한 56억 원 투입 계획을 1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18억4000만 원이 증액된 수준이다.
![]() |
동두천중앙성모병원. [사진=경기도] |
경기도는 지난해 10월 동두천중앙성모병원과 양평병원을 취약지역 거점의료기관으로 지정하고 24시간 응급진료 체계를 갖추도록 지원했다. 이를 통해 이 지역의 유일한 응급실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었다.
올해는 가평, 동두천, 양평, 양주 4개 의료기관에 응급실 전문의 인건비 32억 원을 지원하여 응급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했으며, 7월 말 기준으로 총 2만8832건의 응급환자 진료가 이루어졌다. 이는 대형병원에 집중되던 환자들을 지역 내에서 치료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환자와 가족들의 부담을 줄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올해 처음으로 24억 원을 투입해 분만취약지 임산부를 위한 원거리 진료 교통비 지원사업을 진행하며 도민의 체감 효과를 높였다. 당초 2400명이 목표였던 지원 규모는 9월 25일 기준으로 2626명이 신청하여 109% 달성됐다. 이를 통해 임산부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산전·산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건강한 출산환경을 조성하였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이 도민 생명과 건강권 보장을 위한 핵심 정책임을 증명했다고 밝혔다. 유영철 도 보건건강국장은 "응급의료 취약지역 지원은 일시적 사업이 아니라 반드시 지속돼야 할 필수 공공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안정적 운영을 통해 경기 동·북부 주민의 안전한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