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식중독 환자 3명 중 1명...살모넬라가 주요 원인
손 씻기 생활화·철저한 조리·안전한 보관이 최선의 예방책
[경북종합=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가 추석 연휴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식중독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5일 경북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도내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을철 발생은 20건(367명)으로 전체 식중독 환자의 32%를 차지했다.
특히 가을철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은 살모넬라로, 달걀 조리 과정에서의 위생 부주의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됐다.
![]() |
경북도가 추석연휴 안전하고 건강한 보낼 수 있도록 식중독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사진=경북도]2025.10.05 nulcheon@newspim.com |
추석 명절에는 산적, 전 등 달걀을 활용한 음식이 많이 준비되는 만큼 조리 과정에서 위생 관리가 소홀할 경우 식중독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
올해는 개천절부터 한글날까지 이어지는 7일간의 황금연휴로, 평소보다 많은 음식을 한꺼번에 장만해 장기간 보관·섭취할 가능성이 높아 식재료의 구매부터 보관·섭취까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식재료 구매 시에는 냉장이 필요 없는 식품부터 농산물, 냉장 가공식품, 육류, 어패류 순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다.
조리 전에는 손 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깨끗이 씻고, 특히 달걀이나 생고기를 만지면 조리 기구나 사람 손을 통해 식품에서 다른 식품으로 미생물이 이행되는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다시 손을 씻어야 한다.
조리 시에는 식재료마다 도마, 칼 등 조리 기구를 구분해 사용하고, 채소·과일은 깨끗이 씻으며, 육류는 75℃ 이상, 어패류는 85℃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조리 후에는 음식을 빠르게 식혀 냉장 보관을 하고, 재섭취 시 반드시 재가열해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섭취해야 한다.
또 성묫길이나 귀성길에는 조리된 음식을 될 수 있는 대로 바로 섭취하고, 불가피하게 이동할 경우 아이스박스 등을 활용해 10℃ 이하로 보관·운반하며, 차량 내에 2시간 이상 방치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김호섭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명절에는 다양한 음식을 준비하고 오랜 시간 함께 나누어 먹는 만큼 작은 부주의도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손 씻기와 올바른 조리·보관 수칙을 철저히 지켜 도민 모두가 식중독 없는 안전하고 건강한 명절을 보내달라"고 당부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