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교사노조 "16개 타 시·도교육청 위탁...광주만 산재예방 교장 직접"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교육청이 학교 내 산업재해 예방에 뒷짐을 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8일 광주교사노조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광주시교육청만 제외하고 모두 산업재해 예방 업무를 전문업체에 위탁해 실시 중이다.
다른 지역은 학교와 전문 업체가 함께 '산업재해 예방 업무'를 수행하는 반면 광주에서는 학교 교장이 도맡아 하고 있다는 것이다.
![]() |
광주교사노동조합. [사진=박진형 기자] |
교장은 1년에 16시간 '관리감독자 안전보건 교육'을 이수한 뒤 관리감독자로서 학교 내 유해 요인을 사전에 찾아내는 위험성 평가 등을 실시한다.
이에 대해 교사 노조는 "산재 예방의 전문성이 없는 교장에게 맡기다 보니 교장은 교감·행정실장, 영양교사에게 시키고, 교감은 다시 학생부장에게 시키고, 학생부장은 무보직 교사에게 시키는 일까지 연쇄적으로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받은 교장이 못 하면 교감·행정실장·영양교사는 아예 못한다. 전문 업체에 위탁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야 맞다"고 강조했다.
교사 노조는 "대통령의 산재 예방 관심을 그대로 반영하여 내년에는 위험 평가 등 산재 예방 업무를 전문 업체에 위탁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늦은 김에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의 산재 업무보다는 훨씬 잘한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충분한 예산을 편성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끝으로 "희망하는 모든 학교에서 산재 예방 업무를 전문 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안전에 드는 예산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다"고 강조했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