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개발·생산·사무 전 영역에 AI 적용
3년 내 업무 생산성 30% 향상 목표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LG디스플레이가 올해를 인공지능 전환(AX) 혁신의 원년으로 삼고 전사 생산성 강화에 나선다. 개발부터 생산, 사무에 이르기까지 전 사업 영역에 자체 개발 AI를 적용해 근본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낸다.
5일 LG디스플레이는 'AX 온라인 세미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정에 'AI 생산 체계'를 도입해 연간 2000억 원 이상 수익성 개선 효과를 거뒀다.
![]() |
LG디스플레이 AX 도입 성과 [사진=LG디스플레이] |
AI 어시스턴트도 자체 구축해 외부 솔루션 대비 100억 원의 비용을 절감했다. 향후 3년 내 업무 생산성을 30% 높여 OLED 중심 사업구조 경쟁력을 강화하고 원가·수익성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개발 부문에서는 '엣지 설계 AI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이형 디스플레이 패널 외곽부 보상 패턴 설계에 걸리던 시간을 한 달에서 8시간으로 줄였다. 광학 설계에도 AI를 도입해 색 변동 최적화 설계 기간을 5일에서 8시간으로 단축했다. 패널 기판 설계부터 재료·소자, 회로, 기구 순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제조 부문 핵심은 'AI 생산 체계'다. OLED 공정 도메인 지식을 학습한 AI가 이상 원인을 자동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품질 개선 소요 시간은 3주에서 2일로 줄었고, 양품 생산 확대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도 발생했다. 앞으로는 장비 제어까지 가능한 자율 개선 단계로 고도화하고, LG AI연구원 '엑사원'과 결합할 계획이다.
사무 부문에는 AI 어시스턴트 '하이디'를 적용했다. 사내 문서 200만 건을 학습해 지식 검색, 회의록 작성, 메일 요약 등을 수행한다. 도입 후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이 10% 높아졌으며, 외부 서비스 구독 대비 연 100억 원 절감 효과를 냈다. 하반기에는 PPT 초안 작성과 이미지 검색 기능도 추가한다.
![]() |
LG디스플레이 AI 어시스턴트 '하이디(Hi-D)'의 자동 통역 서비스 [사진=LG디스플레이] |
정철동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는 "전사 AX 확대 적용으로 체질 개선과 수익성 개선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시하며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