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독자 AI 프로젝트' 컨소시엄 구성 공개
HL로보틱스·NHN·MBC 등도 참여…수요기업 40곳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엔씨소프트의 인공지능(AI) 전문 자회사 NC AI는 롯데이노베이트, 포스코DX,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국내 최고 기술력을 갖춘 14개 산업·연구·학계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가한다고 31일 밝혔다.
NC AI는 이번 컨소시엄의 주관기관으로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바르코(VARCO)'를 프롬 스크래치부터 개발하고 게임과 패션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는 총괄 리더 역할을 맡는다.
![]() |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NC AI 컨소시엄 참여 기업. [사진=NC AI] |
ETRI는 한국어 언어모델 코버트(KorBERT), 이글(EAGLE) 개발 경험을, 고려대학교는 국내 최초 학계 대형언어모델(LLM) 'KULLM' 공개 경험을 바탕으로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KAIST는 3D 비전과 로보틱스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 그룹으로 차세대 AI 기술 연구개발(R&D)을 담당한다.
데이터 구축은 NC AI 자체 데이터실과 AI 학습 데이터 구축 및 품질 검증 전문 기업 에이아이웍스, AI 안전성과 데이터 설계 역량을 갖춘 연세대학교가 협력해 고품질 LLM과 멀티모달 특화 데이터를 확보한다.
산업 현장 적용과 확산은 롯데이노베이트, 포스코DX, HL로보틱스, 인터엑스, NHN, 미디어젠 등 각 산업 분야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맡는다. 이들은 롯데와 포스코의 주요 그룹사들을 비롯해 산업 확산을 위한 제조·건설·문화 업계 대표 SI 기업들, 유통·소비재, 미디어, NPU·인프라 등 18개 산업군을 대표하는 40개 수요기업과 함께 컨소시엄의 기술력을 산업 현장에 적용하고 확산할 예정이다.
제조·로봇 분야에서는 포스코DX가 제철소와 이차전지공장 등 소재분야 현장에서 AI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한다. HL로보틱스는 자율주행 로봇에 탑재할 수 있는 AI 모델을 상용화 수준으로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인터엑스는 디지털 트윈 기술로 실제 수집이 어려운 데이터를 가상 환경에서 생성, 피지컬 AI 모델 훈련을 고도화한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자체 AI 플랫폼 'Aimember'를 활용해 유통·공공 분야 AI 적용을 주도하며, 미디어젠과 NHN은 각각 공공 및 금융 분야 AI 서비스 경험을 통해 AI 혁신을 이끈다.
콘텐츠·미디어 분야에서는 NC AI와 MBC가 협력한다. MBC의 방대한 방송 아카이브 데이터를 한국의 현대사와 문화적 맥락을 AI에 학습시켜 K-컬처의 독자적 콘텐츠 생성 능력 기반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최적화 실증은 NHN 클라우드가 주도한다. NHN 클라우드는 국내 최대인 22 페타플롭스(PetaFLOPS) 이상 규모의 AI 반도체 팜 구축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국산 NPU 기반의 모델 학습과 추론 최적화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진정한 AI 주권은 단순히 해외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수동적인 방어가 아닌 세계 무대에서 판을 짜고 규칙을 세우는 게임 체인저가 되는 것"이라며 "이번 컨소시엄은 대한민국이 기술, 데이터, 산업 전반에서 AI 주도권을 확보하고 국가 AI 거버넌스와 시너지를 내 'AI G3'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위대한 여정의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30일부터 이틀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서면평가를 통과한 컨소시엄 주관사 10곳을 대상으로 발표평가를 진행한 뒤 5곳을 선발할 예정이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