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한 호랑이 캐릭터 '더피'가 국립중앙박물관을 한층 더 '핫플'로 만들었다.
30일, 36도를 웃도는 여름 날씨에도 국립중앙박물관 앞에는 긴 대기줄이 늘어섰다. 입장이 시작되면 관람객들은 곧장 기념품 매장 '뮷즈샵'으로 향한다. 더피의 모티브가 된 '까치호랑이 배지'를 사기 위해서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줄이 길게 늘어선 국립중앙박물관. 2025.07.30 moonddo00@newspim.com |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들. 2025.07.30 moonddo00@newspim.com |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작호도'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까치 호랑이 캐릭터 '더피'가 등장한다. 호랑이 더피는 극 중 루미에게 사자 보이즈 진호의 편지를 전달하는 역할로 등장, 귀여운 비주얼과 설정으로 전 세계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까치호랑이 그림은 조선시대 민화에서 호랑이와 까치를 중심으로 한 풍자적 상징을 담은 작품이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까치호랑이 더피. [사진=넷플릭스] 2025.07.30 moonddo00@newspim.com |
국립중앙박물관 뮷즈샵 관계자는 "까치호랑이 배지가 인기가 많다. 호랑이 배지는 입고돼도 금방 품절된다. 인기가 가장 많은 상품이다"라며 "반가사유상 미니어처와 25공모 비치 타월도 잘나간다"며 "연령대는 정말 다양하다. 외국인들도 많지만 요즘에는 한국인들이 더 많이 온다"고 말했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측은 "K콘텐츠 기반 굿즈 제작 관련을 논의 중이나 아직은 확정된 바 없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더피와 닮은 까치 호랑이 배지 같은 굿즈를 더 만들 계획은 있다"고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품절된 호랑이 배지. 2025.07.30 moonddo00@newspim.com |
굿즈를 제작·판매하는 '뮷즈'는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이 2022년 론칭한 브랜드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물에서 영감을 받아 상품을 개발한다. 방탄소년단의 RM이 추천한 '반가사유상 미니어처'로 화제를 모은 바 있으며, 최근에는 더피 배지와 같이 전통문화와 K컬처를 접목한 제품이 외국인 관광객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해당 배지는 지난해 '뮷즈' 공모전 선정작이었지만,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케이팝 데몬 헌터스'로 주목받으며 품절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는 1인당 구매 수량 제한과 함께 예약 판매분은 11월이 돼서야 발송된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뮷즈샵 관람객. 2025.07.30 moonddo00@newspim.com |
박물관 관계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이전 이후로 딱 나눠 말할 수는 없지만 최근 들어 관람객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뮷즈샵에서 뉴스핌과 만난 한 어린이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보고 궁금해서 박물관도 와봤다. 배지를 사고 싶었는데 품절돼서 못 사서 아쉽다"고 말했다.
강남 거주 20대 여성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안 봤는데 요즘 박물관이 핫플이라서 구경 와봤다. 예쁜 건 이미다 품절"이라며 아쉬워했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뮷즈샵 관람객. 2025.07.30 moonddo00@newspim.com |
이 같은 열기는 실적에도 반영됐다. '뮷즈' 출시 첫 해 116억 9200만원이었던 매출액은 지난해 212억 8400만원으로 늘었고 올해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114억 8000만원을 기록했다.
박물관 전체 관람객 수도 증가했다. 지난해 379만명이 국립중앙박물관을 다녀갔고 올해는 상반기에만 271만명을 기록했다.
moondd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