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민단체 중심, 작품과 이를 쓴 최순애에 대한 재조명 움직임 활발
11일 한양대학교 국문학과 유성호 교수 '수원의동요 오빠생각 100년' 강의
[수원=뉴스핌] 박노훈 기자 = 국민동요 중 하나인 '오빠생각' 노랫말이 쓰인 지 올해 100년이 되며 작품과 해당 동시를 쓴 최순애(1914~1998)에 대한 재조명이 이뤄지고 있다.
![]() |
11일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유성호 교수가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에서 '수원의동요 오빠생각 100년' 주제의 강의를 펼치고 있다. [사진=뉴스핌] |
특히 동시를 쓴 최순애가 수원 출신으로 당시 수원에 거주하며 수원에 자리한 삼일여학교(현, 매향중·고교)를 다녔던 사실이 파악되며 수원시민단체 중심으로 이에 대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11일 시민단체 (사)경기르네상스포럼과 이날 최순애의 모교인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에서 강의를 펼친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유성호 교수에 따르면 '오빠생각'의 제목과 노랫말은 최순애가 12살 되던 1925년 11월 한국 최초의 아동문학지 '어린이'에 투고하며 입선된 동시다.
이듬해인 1926년 음악교사였던 박태준이 이 작품을 발견하고 동요로 탈바꿈 시켰고 1927년 가수 이정숙이 첫 녹음을 했다고 알려진다.
'오빠생각' 노랫말은 당시 최순애가 친오빠 최영주(1906~1945)를 그리워하며 쓴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최순애는 또다른 국민동요 중 하나인 '고향의 봄' 노랫말을 탄생시킨 이원수(1911∼1981)와 연이 닿았고, 이 둘은 결혼까지 해 살다 갔다.
결혼 후 최순애는 작품 활동보다는 가정에 충실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성호 교수는 "(오빠생각은)비단구두 사가지고 온다며 서울로 향하는 이의 이향(離鄕)과정을 포착했다면, (고향의 봄은)고향 떠난 이가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는 회귀적 망향(望鄕)정서를 곡진하게 담았다"고 평했다.
![]() |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역사전시관에 설치된 최순애 오빠생각 콘텐츠(이젤 전시). [사진=뉴스핌] |
어찌됐던 동요 '오빠생각'은 수원에서 태어나 수원에서 살던 12살 어린 소녀에 의해 100년 전 탄생한 뒤 아이들의 '입으로 입으로' 불려져 온 셈이다.
이 때문에 수원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오빠생각'과 최순애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 최근 이뤄지고 있다.
경기르네상스포럼 한준택 상임이사는 "우리 뿐 아니라 몇몇 시민단체들이 모여 ''오빠생각' 콘텐츠 제작 전시'나 ''오빠생각' 100년 시인의날 행사', '합창대회', ''오빠생각' 노래비 설치' 등을 계획 중"이라며 "'오빠생각'은 수원이 낳은 대표적 국민동요다. 이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행사를 시민단체 중심으로 시작하려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매향여자고등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유성호 교수의 '수원의동요 오빠생각 100년' 주제의 강의는 전교생(603명)을 대상으로 오전 10시부터 진행됐으며, 오는 17일 오후 2시에는 삼일공업고등학교 대강당에서도 이뤄질 예정이다.
ssamdor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