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납품 공급망 변화… 관련 제도 시행에도 효과는 제한적
안정적인 레미콘 납품을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 제안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도시기본 계획과 환경권 강화로 서울 내 레미콘 공장이 줄어들면서 납품 지연과 물량 부족 등의 문제가 생겨나고 있다. 정비사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으려면 안정적인 레미콘 납품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이 필수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 |
2025년 레미콘 납품 공급망 추정치. [자료=한국건설산업연구원] |
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도심지 레미콘 납품 여건 실태와 취약성 진단'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서울 노후 건축물의 레미콘 잠정 추정량은 6543만㎥로 서울·인천 레미콘 출하량이 가장 많은 시기의 89.8%에 달한다. 도시정비사업의 레미콘 추정 소요량은 서울 관내 레미콘 전체 추정 생산량의 91.9%를 차지하는 201.6만㎥다.
최근 들어 레미콘 공장 수는 줄고, 공급 여건도 변화하면서 건설 현장의 자재 수급 안정성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다. 도심권의 경우 운송 거리와 시간 제약 등으로 인해 납품 한계에 직면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레미콘은 콘크리트를 섞기 시작한 후 90분 이내에 타설하지 않으면 굳는다. 품질이 떨어진 레미콘은 전량 폐기 처분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다른 건자재와 달리 미리 제작해 보관하거나 주문할 수도 없다. 타설할 때마다 필요한 양을 최대한 잘 계산해야 해 현장 근로자에게 가장 큰 부담을 주는 요소 중 하나로 꼽혔다.
서울 관내 레미콘공장은 강화된 환경 규제와 도시계획으로 인해 2곳만 운영될 예정이다. 연간 생산량은 2017년 702만㎥에서 2026년 288만㎥로 약 59%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도심권 및 동북권·서남권 일부 지역은 사실상 레미콘 납품 공백을 직면했다. 레미콘 타설 가능 시간 내 납품이 어려운 수준이다.
정부는 레미콘의 안정적인 납품과 생산·공급에 관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공공건설 현장에선 레미콘 수급 차질 우려가 있는 경우 민관 참여 '레미콘 수급협의체'에서 정한 중요 관급공사 레미콘 현장에 일순위로 레미콘을 납품하는 우선납품제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 현장 선정의 객관성이나 형평성, 계약 및 관리의 복잡성 증가 등 우려는 여전하다.
박상헌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민간 건설 현장은 레미콘 납품 안정화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라며 "특정 단체에 소속된 레미콘사의 의존도가 높다 보니 대응에서의 취약성이 발견된다"고 말했다.
시멘트, 모래, 자갈 등 콘크리트 구성 재료를 조합해 레미콘을 만드는 현장배치플랜트는 생산·공급을 일괄 처리하므로 레미콘 납품 공급망에 효과적인 방안으로 평가된다. 전량 생산이 불가능한 현장은 외부 물량도 확보해야 하고 생산 장비도 관리해야 해 도입과 확산에 한계가 있다.
건산연은 변화한 레미콘 납품 공급망을 고려하지 않은 단기 처방을 개선하기 위해 래미콘 공동 구매 시스템 도입과 품질 제고를 위한 기준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현장배치플랜트의 도입·확산을 위해선 시공자와 감리자의 배치 기준 조정과 초기 설치비의 합리적인 배분 규정이 병행돼야 한다고 봤다.
박 부연구위원은 "서울 내 변화된 레미콘 납품 공급망은 단순히 수급 불안정이나 품질 문제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노후화된 도시의 정비사업 추진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변화된 체계를 직시하고 도시개발 여건과 친환경을 고려한 레미콘 납품 공급망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