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급증 시 알림 도입 등 정보 전달 강화
선거보도 신뢰 제고 위한 인터페이스 개선 제안
소비자 피해 구조적 한계 공유…외부 협력 필요 강조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가 정기회의를 통해 제21대 대통령선거에 대비한 플랫폼 운영 정책과 소비자 보호 방안을 점검하고, 공정한 정보 전달 및 이용자 신뢰 확보를 위한 개선책을 제안했다.
28일, 네이버는 '네이버 이용자보호 및 자율규제위원회(이하 자율규제위원회)'가 제14차 정기회의를 열고 선거 기간 중 서비스 운영 정책과 소비자 피해 구제 현황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권헌영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를 비롯한 위원들과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대표가 참석했으며, 이명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와 박세환 서울시립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신규 위원으로 위촉됐다.
![]() |
네이버 로고. [사진=네이버] |
네이버는 회의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기간 동안 운영 중인 선거 특집 페이지를 소개하고, 언론사별 뉴스·여론조사·선거관리위원회 콘텐츠 등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댓글 등 이용자 반응이 급증할 경우 해당 언론사와 이용자에게 이를 알리는 신규 알림 기능을 도입해 정확한 정보 전달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자율규제위원회는 선거 정보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를 통해 이용자가 불공정 선거보도 기사 등에 대해 보다 직관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소비자 피해 구제 현황과 네이버의 대응 노력에 관한 논의도 함께 이뤄졌다. 네이버는 검색, 커머스, 커뮤니티, 예약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플랫폼 특성상 민원이 많이 발생하며, 거래 당사자가 아닌 중개 플랫폼으로서 판매자 동의 없이 분쟁 해결이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음을 설명했다. 이에 위원회는 외부 기관과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이용자 불편의 원인을 분석하고 실질적 해결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권헌영 자율규제위원회 위원장은 "대통령선거와 같은 중요한 시기를 앞두고 네이버가 정보의 투명성과 신속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며 "신뢰받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기 위해 자율규제위원회도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율규제위원회는 서비스 전반의 사용자 보호 현황을 점검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정기회의를 운영 중이다. 11차 회의에서는 고객 응대 시스템 개선 논의가 있었으며, 12·13차 회의에서는 활동보고서 및 연구 과제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