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전력을 투구하고 있는 일본 정부가 이번에는 '반도체'를 카드로 꺼내 들었다.
28일 아사히신문은 관세 협상을 둘러싸고 일본 정부가 미국 측에 美기업의 반도체 제품을 수십억 달러 규모로 구매하겠다는 제안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수입 규모는 엔화 기준으로 수천억 엔에서 1조 엔에 이를 가능성이 있으며, 연간 9조 엔(약 85조 원)에 달하는 미국의 대일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한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는 의도다.
일본 정부는 미국 반도체 제품을 구매하는 일본 기업들에게는 보조금을 지급할 방침이라고 아사히는 전했다.
일본 측은 지금까지의 협상에서 미국 반도체 대기업 엔비디아의 제품을 염두에 두고 수십억 달러 규모의 수입안을 미국 측에 제시했다.
엔비디아는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시장에서 약 8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정부는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통신사나 IT 기업 등을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급해 구매를 지원할 방침이다.
미국의 반도체 기업들은 개발·설계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제조는 대만 기업에 맡기는 경우가 많아 중국과의 유사시 공급이 중단될 위험을 안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를 우선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일본은 미국 측에 대해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웨이퍼나 화학 약품 등을 미국 내에서 생산할 때의 지원 방안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미국과 함께 공급망(서플라이 체인)을 강화하는 것이 경제 안보 확보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 |
미국 성조기와 일본 일장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