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묻고 답하며 쌓아 올린 국가의 비전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한 리더십 교과서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유교적 이상과 개혁 정신을 실현하고자 했던 정조와 이를 현실 정책으로 구체화했던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정책 문답집이 나왔다. 두 인물이 국가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며 주고받은 대화를 쉽게 풀어낸 '정조가 묻고 다산이 답하다'(판미동)가 그것이다.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다산과 정조의 문답집 '정보가 묻고 다산이 답하다'. [사진 = 판미동] 2025.05.20 oks34@newspim.com |
이 책은 개혁군주 정조와 실학자 다산의 정책 문답인 '책문(策問)'과 '대책(對策)'을 인사·경제·국방·교육·문화 등 주요 분야별로 정리한 것이다. 인문 고전의 대중화를 이끌어 온 신창호 교수가 원문의 형식을 살리면서도, 오늘날 독자들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충실한 해설을 덧붙였다.
정조가 문제를 짚고 대안을 구하면, 다산은 자신의 학문과 식견을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고 정책으로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대표적인 학자 군주였던 정조는 정치·행정·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질문을 던졌고, 다산의 답안은 실제로 과거시험 수석으로 선발될 만큼 수준 높은 정책적 통찰과 뛰어난 문장력을 보여 주었다.
역사학자 E. H. 카는 '역사는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했다. 개혁군주 정조와 실학자 다산의 정책 문답은 그런 면에서 지금 대한민국의 현실에서도, 정부가 국민에게 묻는 오늘날의 시대에도 그들의 사상은 유의미하다. 정조와 다산의 관계는 군주와 신하를 넘어, 문답을 통해 국가의 비전을 함께 설계해 나가는 정치적·지적 동반자였다.
당대 최고의 학문과 정치적 식견을 지닌 두 사람은 국정의 방향과 개혁 과제를 놓고 깊이 있는 문답을 지속적으로 주고받았다. 그 문답은 평면적인 지식 교환이 아니라, '부패와 혼란에 빠진 국가를 어떻게 다시 세울 것인가?'에 관한 현실적이고 치열한 모색이었다. 그런 문답이 가능했던 것은 40대의 원숙한 국왕 정조와 30대의 패기 있는 실학자 정약용 사이에 자리한 상호 존중과 긴장 속 협력 덕분이었다.
두 사람은 일방적 지시나 독단이 아닌, 질문과 응답, 고민과 반성을 통해 국정의 방향을 함께 그려 나갔다. 조선 후기의 혼란한 정국 속에서 두 사람이 주고받은 이 대화는 '정치란 질문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임을 다시금 일깨워 준다.
이들은 신분제와 붕당정치라는 구조적 제약 속에서도 출신과 배경을 넘어 실력 중심의 인사 정책을 지향했으며, 그 바탕에는 '포용이 곧 혁신'이라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람을 통한 개혁', '실현 가능한 이상', '지식인의 공적 책임'에 대한 정조와 다산의 고민은 시대를 초월한 리더십의 원형을 보여 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 준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