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종합] 가스공사, 2분기 영업이익 127% 늘어난 4657억…당기순이익 2533억 '흑자전환'

기사입력 : 2024년08월09일 16:50

최종수정 : 2024년08월09일 16:50

2분기 매출액 7조4898억…전년대비 7.8% 감소
상반기 영업이익 1조3872억…전년대비 74.9%↑
미수금 13조7000억…1분기 대비 2000억 증가
가스공사 "가스요금, 여전히 원가에 못 미쳐"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한국가스공사가 올 2분기에 4657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53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1조3872억원, 당기순이익은 6602억원으로 전년보다 수익성이 크게 호전됐다.

9일 가스공사의 영업 잠정 실적 공시에 따르면, 2분기 영업이익은 연결 기준 4657억원으로 전년 동기(2050억원)보다 2607억원(127.1%) 증가했다(그래프 참고).

매출액은 7조4898억원으로 전년 동기(8조1276억원)보다 6378억원(-7.8%)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2533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66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딛고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반기 기준으로도 전년 동기보다 크게 증가했다.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1조3872억원으로 전년 동기(7934억원)와 비교해 5938억원(74.9%) 증가했다.

이에 대해 가스공사는 "지난해 상반기 영업이익의 일시적인 감소요인이었던 천연가스 용도별 원료비 손익이 올해 상반기에는 발생하지 않으면서 영업이익 증가효과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또 지난해 상반기에는 2022년 배관 등 입찰담합소송 승소금 896억원이 일시적으로 영업이익 감소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올 상반기에는 이런 감소요인이 소멸되면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상반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6602억원으로 전년 동기(726억) 대비 5876억원(808.4%) 대폭 증가했다.

이는 이자비용 등 영업외손익이 큰 변동이 없는 상태에서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매출액은 전년 반기보다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올 반기 매출액은 20조3004억원으로, 전년 동기(26조575억원)보다 5조7571억원(-22.1%) 감소했다.

이는 발전용 판매물량이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발전용 판매물량은 지난해 반기 848만톤(t)에서 올 반기 783만t으로 65만t 줄어들었다. 이와 반대로 도시가스 판매물량은 지난해 반기 998만t에서 올 반기 1045만t으로 47만t 증가했다.

여기에 더해 국제유가 하락으로 평균 판매단가가 하락한 사실도 영향을 미쳤다. 평균 판매단가는 지난해 반기 메가줄(MJ)당 24.66원에서 올 반기 19.22원으로 5.44원 감소했다.

이에 대해 가스공사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평균 판매단가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고, 평균 기온 하락과 산업용 수요 증가로 도시가스 판매물량이 증가했음에도 발전용 판매물량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상반기 매출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미수금은 올 1분기보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수금은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가스를 공급한 뒤 원가와 공급가 간 차액을 나중에 받을 외상값 명목으로 장부에 기록해 두는 금액을 말한다.

올해 2분기 미수금은 13조7000억원으로, 1분기(13조5000억원)보다 약 2000억원 증가했다. 미수금은 ▲2022년 말 8조6000억원 ▲2023년 말 13조원 ▲2024년 1분기 13조5000억원 ▲2024년 2분기 13조7000억원 등으로 매해 증가하는 추세다.

가스공사는 원가와 공급가 간 여전한 격차로 인해 앞으로 미수금 규모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대해 가스공사는 "이번 상반기 영업실적은 지난해 상반기 영업이익의 차감요인이었던 일회성 비용들이 해소되면서 정상화된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8월 요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원료비 요금이 여전히 원가에 못 미치고 있어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 증가가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ra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