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폭 둔화 속 송파·동작 등 수도권 일부 반등 '눈길'
거시경제 불안 및 침체 우려…12월 바닥 주장에도 관망 '눈치게임' 여전할 듯
[서울=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집값이 이미 바닥을 쳤다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물론 상승장으로 돌아섰다는 얘기는 아니다. 최소한 바닥 모를 하락은 지나간 것이 아니냐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그 근거로는 정부의 1·3대책이 발표된 지 100일이 지난 통계 지표추이와 시장 분위기를 종합해 보면 그럴 듯하다.
지난해는 집값 급락의 여러 기록을 갈아치운 해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4.79%로 10년 만에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특히 12월은 하락 갱신 폭이 클 정도로 냉각돼 있었다. 1·3 대책이 시행되기 전인 지난해 12월 마지막 주만 하더라도 -0.76%를 기록했다. 급격한 고금리 추세와 부동산 꼭지 인식이 맞물리면서 급락세를 가져 온 것이다.
자료:한국부동산원 |
그러나 정부의 지속적인 규제완화 시행이 발표되면서 부동산 시장 흐름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가격 하락폭은 줄어들고 거래량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1·3 대책 발표 전후로 주간 아파트 매매 변동률은 지속적으로 감소 폭을 줄여 오면서 가장 최근 발표된 4월 둘째 주에는 -0.17%로 하락폭이 크게 좁혀졌다.
특히 일부 지역은 하락 폭을 줄인 것을 넘어 아파트값이 올라 플러스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 주 주간 동향 기준으로 서울의 경우 송파구와 동작구가 각각 0.02%, 0.01%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에선 용인 처인구, 인천 서구가 반등에 성공했고 지방에선 세종시가 4주 연속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른 부동산 관련 지표 역시 흐름이 나쁘지 않다. 거래량은 지난해 11월 역대 최저에서 벗어나 올 들어 3개월 연속 월간 거래량이 '전월대비' 늘기 시작했다. 서울의 경우 최저 마지노선으로 꼽는 2000건을 2개월 연속 상회하는 통계가 집계됐다.
신규 분양시장도 서울과 경기도 일부이긴 하지만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레드라인'을 넘어섰던 미분양 물량도 2월 통계에선 1월에 집계된 7만5000여가구에서 크게 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 강남3구와 용산을 제외한 전국이 규제지역에서 대거 해제되고 특례보금자리론 출시로 대출규제의 숨통이 트이면서 꽁꽁 얼어있던 매수세의 온기를 불어 넣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공시가격 변동에 따른 보유세 하락과 유동성 위기를 겪는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한 지원 등 정부의 다각적 노력이 이어졌다. 무엇보다 시중 금리의 하향 유도는 관치금융 논란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국내외 거시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우려 등의 변수 때문에 지금의 호전은 일시적이고 다시 집값이 하락할 것이란 비관론은 여전히 시장에서 비등한 게 사실이다. 최근 지표는 분명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현재와 미래의 환경은 '지뢰밭' 투성인게 눈에 뻔히 보이기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들도 다가 올 경기침체 나아가 경제위기론을 예견하며 극단적으로 "지금 집을 사면 낭패"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다른 전문가는 과거 평균 거래량과 전세가율, 경매낙찰률 등 데이터를 비교해 가면서 대세 상승을 이어나기기 어렵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들의 근거도 수긍이 가기에 시장의 수요자나 공급자 등 많은 참여자들이 현재의 상황을 더욱 혼란스럽게 느끼는 것 같다.
경기의 흐름이 바뀌는 변곡점을 맞추는 전문가는 흔치 않다. 시장의 변곡점이 이론대로 움직여지지 않고 결국 지나봐야 알 수 있다는 점도 과거의 경험이다. 다만 최근 바닥론을 주장하는 이들이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점차 늘고 있다는 점은 눈여겨 볼 필요는 있다. '폭등이'와 '폭락이'로 서로를 비하하며 원초적인 글들이나 근거 없고 주관적 글들도 많지만 '바닥시장'을 파악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지난 12월을 저점으로 보고 있는 이들은 정부의 규제완화와 금리 피벗(통화정책 전환) 움직임이 부동산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믿고 있다. 하지만 추세 반전에서 대세 상승이 시작될 것으로 보는 이들은 아직 소수의 주장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선 당분간 관망세가 짙은 '눈치게임'이 될 가능성이 높아 높인다.
dbman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