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在韩中国人Talk!】"汉语热"将随中国国际地位提升而持续——专访明知大学中文系助理教授姜燕

기사입력 : 2020년11월09일 16:27

최종수정 : 2020년11월11일 07:43

中韩两国一衣带水,人文交流历史源远流长。自1992年中韩建交以来,两国关系经历了几何式增长,在各个领域取得了长足发展。随着中国国际地位不断提升,韩国掀起"汉语热",众多中国籍教授在韩国大学教书育人,明知大学中文系助理教授姜燕便是其中一员。

明知大学中文系助理教授姜燕。【图片=记者 周钰涵】

韩国纽斯频(NEWSPIM)通讯社中国部记者6日专访了姜燕,聆听她对汉语言、韩国人学习汉语现状以及未来发展趋势等的见解。

◆与韩流结缘开启韩国留学生活

记者见到姜燕,她刚刚结束一场线上授课,温文尔雅、气质非凡是姜燕给记者的第一印象。姜燕来自吉林省长春市,2007年获得长春理工大学汉语言文学系本科学位后,次年3月转战韩国,攻读中央大学国际商学硕士。

谈到来韩国的契机,姜燕表示:"来韩国有很多原因,最重要的是就读本科时受韩流影响,那时我认为韩语是一门温柔、动听的语言,所以当机立断找了位当地颇有名气的韩语老师学习,老师让我明确了学习韩语的目的并设立目标。深思熟虑后,决定来韩国深造,这样不仅可继续学习韩语,也可在未来求职时提交的简历上增加亮点。"

被韩国中央大学录取后,姜燕并未选择此前的汉语言文学专业,而是进修国际商学。她认为主要有三点原因,首先是当时认为中国人来韩国求学不应选择中文系,现在看来这种想法是错误的;其次是大学本科曾有研修商学经历;再次是当时梦想毕业后入职外企。

硕士毕业后,姜燕于2011年进入成均馆大学攻读汉语言文学博士课程。谈到重操旧业,姜燕笑称:"硕士毕业后,我并没有立即申请读博,而是利用一年的时间思考与观察。回想进修硕士学位的那段时光,我利用课余时间做家教或在企业做出讲教师。那段经历让我学到很多,也让我找到自信。只要站上讲台,我就会忘记时间和疲劳。同时,韩国人对汉语的执着,包括对老师的尊敬让我十分感动。此外,自己的目标也随着年龄的增长发生变化。因此,我决定'重操旧业'。"

席间,姜燕谈到了韩国人对学习汉语的热忱。她说,韩国人不仅对汉语,他们对所有事情都要做到极致。长时间接触韩国学生后不难发现,绝大部分学生以实用汉语为主,他们普遍认为两国地缘相近,且中国拥有庞大市场,学好中文可拓宽未来的发展空间。

姜燕老师进行线下教学。【图片=纽斯频】

◆大学任教 寓教于乐提高学生学习汉语兴趣

2013年起,姜燕入职明知大学中文系,成为一名助理教授。谈到这里,她谦虚地认为自己是名幸运儿,"在明知大学中文系任教,除了非常幸运外,也存在偶然和必然。偶然方面,以中国籍教授为例,韩国四年制大学通常会在中国本土聘用教授。但当时明知大学有在韩国聘任外籍教授的计划,因此我抓住机遇申请了该计划。必然方面,我有多年对外汉语教学经验,会讲课是我一生的财富,在面试以及我整个教学生涯中,都起着举足轻重的作用。还有就是韩国是非常讲究仪表的国家,身着正装参加面试让我迎来了很高的印象分。平时工作中,我也不疏忽于自己的精神面貌,这样既不会让学生审美疲劳,也会让周围前辈教授感受到我的稳重。还有对于学术研究,我严格要求自己,在此期间也刊载了不少论文,因为我始终相信教学相长的道理。最后就是人际关系的管理,想在一个国家生活就职,必须得接地气,学会洞察这个国家人与人之间的为人处事准则,职场生活守则。上述几个因素,可以说是成功进入并长期在明知大学中文系任教的秘笈。"

采访中,姜燕坦言学院中文讲师与大学中文教授有很大不同。她说,讲师考虑的是一门课或这个月课程的情况。但教授就要针对学生制定四年长期规划。其次是对学生的管理,学院无需给学生太多反馈,而大学需要对学生进行评价,比如周考、月考以及期中期末考试;学生对教授的反馈体现在课程评价上,教授对学生的反馈体现在成绩上。通过这些反馈完善课程,让学生们更有兴趣学习汉语。

姜燕老师录课现场。【图片=纽斯频】

姜燕总结了韩国学生学习汉语的优劣势。她表示:"韩国学生学习汉语的优势是我们同属'东亚文化圈',学生们可书写汉字;同时他们善于记忆,再就是学校对学生采取多种测试及小组发表。劣势是他们存在发音、语调、平卷舌、语序等困难,尤其是他们在中文断句上的问题较为严重,解决这些问题需进行长时间的训练。"

为提高学生们学习汉语的兴趣,姜燕和教学团队下了很大功夫。"中文系每年举行演讲比赛、唱歌比赛,每隔两年举行汉语话剧展示。这些活动会刺激学生学习汉语,寓教于乐。我个人还会向学生们推荐几部好看的中国电影,偶尔带学生们品尝中国料理,让他们更深入地了解中国文化。此外,我还会与韩国学生进行课后谈话,解决他们在学习汉语过程中遇到的难题,通过老师这一身份让他们进一步认识中国人",她说。

姜燕补充道:"疫情爆发以后汉语课程转为线上,最大的弊端是学生无法与老师进行直接沟通。根据学生的反馈,也了解到线上授课使学习态度变得懒散。为提高学生们线上教学的兴趣,我在课件上做了很多改善。而且我会将上课的状态调整到最佳,为学生们提供安静的录课环境,完善幻灯片内容,使其更加丰富多彩。此外,我还会定期与学生进行视频通话,掌握他们对课程的理解程度。"

席间,姜燕还谈到为韩国学生们编排中文话剧《奋斗》是令她最难忘的事。"任教于明知大学的第二年指导韩国学生编排长达1小时30分的中文话剧《奋斗》,话剧是我根据同名电视剧改编而成。由于是我首次指导话剧,没有可参考范本,所以筹备伊始遇到许多难题。暑假期间,我每天带着20多名学生在校排练。但功夫不负有心人,在汇报演出上,不论是学生们的表现、还是舞美和灯光都达到了非常高的水准。我是个性情中人,最后落幕谈感想时,看到学生们掉眼泪,我也留下了激动的泪水,这件事带给我许多感动,成为心中永远抹不掉的美好记忆。"

姜燕老师录制线上课件。【图片=纽斯频】

◆在中国推广鼓励式教育理念成毕生理想

几年前,韩国掀起"汉语热",但最近这种热潮似乎遇冷。对此,姜燕老师给出了自己的看法。她说,韩国的"汉语热"看似降温,但这仅局限于学院行业低迷,大学依旧保持着较高的学习热潮。尤其是科技的发展让人们学习中文的平台和方法更多样化。姜燕对中国的未来充满信心,认为只要中国的国际地位不断提升,"汉语热"就会永远持续。

姜燕既是一名大学老师,也是两个孩子的母亲。对于如何平衡工作与生活,她表示:"工作的时候我会高效率利用时间,业余我会放下所有工作,专心陪伴孩子。面对工作与家庭双重压力,我必须做出妥协和取舍。妥协和取舍的当然就是个人时间,比如追剧,朋友间的聚会,打扮自己的时间都会被压缩。"

谈到未来人生规划,姜燕说:"短时间内我的工作重心仍以韩国为主,但人生的落脚点会放在中国。中国教育体系逐步完善,但仍以知识传播型为主,缺少对孩子全人性、全方位的教育。如果可以,我希望早点退休,将我在韩国学到的一切带回祖国,让国内的学生除了学习知识,也会在真性情方面得到彻底的认识。此外,中国和韩国都属于评价式教育,但我的教育理念是鼓励式教育,希望回国后在当地推广这种理念,这也是我毕生的理想。"

最后,姜燕表示非常感谢纽斯频通讯社给我这样的机会,同时也想对热爱中文的纽斯频读者说:"韩语是一门温柔、动听的语言;汉语是一门博大精深,并可以让人受益终生的语言。你们对汉语的热爱,是我进步的原动力,让我们为了一个共同的梦想,一起拓步前行!"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 뉴스핌 기고 국제 정세가 혼란스럽고 국지적 충돌과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제 글로벌화가 역풍을 맞고 있고 일방주의와 보호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직면한 많은 국가들은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 이러한 시기에 중국은 실질적인 행동으로 세계에 안정성과 긍정적 에너지를 불어넣고 있다. 중국은 세계 경제를 안정적 발전으로 이끄는 강력하고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세계 2위 경제국, 1위 제조업 대국이자 2위 소비시장이다. 이런 조건하에서 중국 경제는 체제와 수요, 공급, 인재 등 네가지 부문에서 두드러진 우위를 보이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2024년 중국 경제는 5% 성장률을 달성했고 GDP 증가량은 1조 500억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중간 경제국가의 연간 경제 총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2025년 복잡한 환경과 숱한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는 안정 성장 추세를 유지하여, 1분기 5.4% 성장을 달성했고 1~4월 상품무역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더욱 중요한 성과는 외부의 압박과 억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돌파를 촉진하는 수많은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잇따라 '딥시크(DeepSeek)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설정된 발전 목표를 달성하며 세계 경제 성장의 가장 중요한 엔진이자 안전 장치 역할을 계속 해 나갈 충분한 자신감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 대사. 사진=중국 대사관 제공.  2025.05.24 chk@newspim.com 중국은 글로벌 협력을 촉진하는 확실한 힘이다. 대외 개방은 중국의 기본 국책으로, 보호주의의 역류가 거셀수록 중국은 더욱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높은 수준의 개방을 추진해나갈 것이며 국제 사회가 모두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것이다. 중국은 150여 개 국가 및 지역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며, 30개 국가 및 지역과 23개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2024년 중국의 평균 수입 관세율은 이미 7.3%로 떨어져 절대 다수 국가보다 낮으며, 43개 최빈국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얼마 전 성공적으로 개최된 중국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는 주변국들과 협력하여 아름다운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것임을 다짐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동남아 순방과 러시아 방문이 커다란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고,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유럽의 여러 국가 지도자들이 중국을 방문했다. 갈수록 더 많은 국가들이 중국과의 동행은 바로 기회와의 동행이며, 중국에 대한 신뢰는 곧 미래에 대한 신뢰임을 인식하고 있다. 중국은 국제 질서를 수호하는 확실한 힘이다. 중국은 현행 국제 질서 속에서 발전해 온 만큼 이 체계의 수혜자이자 지지자, 수호자이다. 중국은 국가 간의 평등 및 호혜 상생을 견지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지향하며, '국력의 크기'를 발언권의 기준으로 삼거나 '자국 우선'을 국제 규칙 위에 두는 것에 반대한다. 국제 사회에서 중국은 책임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대국이다. 중국에 대해 '국제 질서 도전자'라고 지목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이전의 규칙 제정자(rule-maker)가 파괴자로 변해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부당한 관세 전쟁에 직면한 중국은 단호한 대응으로 국가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 나섰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 공정성과 보편적 세계 정의를 수호하는데도 앞장섰다. 결과적으로 중국의 이런 대응은 국제 사회의 많은 나라들이 적극적 협상을 통해 경제∙무역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여지를 넓혀줬다. 중국은 줄곧 각국의 운명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국과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더욱 그러하다고 여겨왔다. 중한 수교 이후 33년 동안 양국 간 각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은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으며, 양국 외교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최근 몇 년간 중한 양국의 국가 상황과 지역 정세, 세계 구도에 모두 큰 변화가 있었고, 중한 관계의 복잡성도 다소 커졌다. 양국은 경험과 교훈을 총정리해 재인식, 재출발해야 한다. 이때 가장 근본적인 것은, 중한 우호 협력의 강화가 양국과 양국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는 점이다. 한국 정국에 변화가 일어나고 국제 정세 변화의 충격도 마주한 가운데, 대다수의 한국 국민은 국가적 통합을 강화하고 경제와 민생을 발전시키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많은 지인들은 중한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한국이 대내외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현재 중한 관계는 지난 날을 토대로 앞날을 개척하는 중요한 단계에 놓여 있다. 중국의 대(对)한국 정책은 확실하며, 중국은 최대한의 성의와 노력으로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할 의향이 있다. 한국이 시대 물결과 국제 흐름을 파악하고 바른 방향을 견지하며 중국과 함께 중한 관계를 건전하고 안정적이며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길 희망한다. 글 = 주한 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중국대사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2025-05-24 13:27
사진
트럼프 "애플 25% 관세, 삼성에도"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중국 등에서 대부분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애플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 같은 조치는 삼성전자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애플(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이것은 삼성과 다른 스마트폰 업체들에게도 해당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내 제조를 장려하려면 모든 기업에 공정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2025.05.24 kckim100@newspim.com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현재 유지 중인 50%의 관세를 그대로 두겠다는 입장도 거듭 확인했다. 그는 "EU와의 대화가 더디다"면서 "협상 타결을 기대하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루스 소셜 계정을 통해 "나는 애플의 팀 쿡에게 오랫동안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반드시 미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고 말해왔다. 인도나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서는 안 된다"며 "그렇지 않다면, 최소 25%의 관세를 애플이 미국에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EU에 대해서도 "우리의 협상 과정은 아무런 진전이 없다"며 "2025년 6월 1일부터 EU산 제품에 일관 50%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어 "EU는 미국을 무역에서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과 다름없고, 협상하기 매우 어려운 상대"라면서 "그들은 강력한 무역 장벽과 부가가치세, 터무니없는 기업 벌금, 비금전적 무역 장벽, 환율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부당하고 정당하지 않은 소송 등으로 미국과 연간 2억 5000만 달러 이상의 무역 적자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증시에 바로 영향을 미쳤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의 주가는 마감을 앞두고 2.92%까지 하락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모두 1.5% 이상 떨어졌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5.14포인트(0.93%) 내린 545.13으로 장을 마쳤다.    kckim100@newspim.com 2025-05-24 04:3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