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탄탄(談談)차이나] 술과시 그리고 삶

기사입력 : 2018년01월24일 09:39

최종수정 : 2018년01월24일 09:39

[뉴스핌=황세원 기자] 

넝인이베이우(能飲壹杯無)
누구 술 한잔 할 이 없는가

술과 함께 떠나는 한시(漢詩) 여행
하늘에서 귀양 온 신선 이백

전편 글에서 이백이 일종의 자기소개서에 해당하는 행권(行券)을 들고 만유(漫遊)를 시작한 과정을 소개한 바 있다. 그런데 당시에는 천하의 인재를 등용하는 과거제도가 잘 발달해 있었는데 시부에 능했던 이백이 어찌 과거시험에 응시하지 않고 어려운 만유의 길을 택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이에 대해서는 그 시기의 인재 등용방식을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될 것 같다.

당나라 초기부터 조정은 전국의 유능한 인재들을 등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크게 두 가지의 길을 마련해 두고 있었다. 진사, 명경 등을 통해 인재를 단계별로 등용하는 과거제도가 그중의 하나였으며, 천자가 덕행, 재능, 문학 등 다방면의 자질을 갖춘 사람을 전국 각 지역에서 천거받아 직접 테스트한 후 조정으로 불러들이는 제거(制擧) 시스템이 다른 하나였다. 후자의 시스템은 비교적 잘 작동해서 당대(唐代) 전기(前期)의 마주(馬周), 이옹(李邕), 방관(房琯), 여향(呂向) 등이 모두 이 경로로 평민에서 바로 경관(京官)이 됐던 사람들이다.

이백이 성공을 위한 루트로서 만유의 길을 택한 것은 한마디로 단계를 밟아 올라가는 과거 급제의 길보다는 영향력 있는 사람에 의해 천거돼 단번에 높은 자리에 오르고 싶은 욕망이 컸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만유 과정에서 각계각층의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시부에 능한 그의 명성이 전국에 알려지게 되고, 그 결과 당 현종의 부름을 받아 관직에 등용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의 생각이 허황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관직 등용 때까지의 긴 기다림의 기간(17년)을 감안하면 그리 효과적인 방법도 아니었다. 아무튼 그가 출세를 위해 많은 사람을 만나며 떠돌아 다닌 긴 세월은 그에게는 고통의 기간이었겠지만 그 덕에 그의 시를 사랑하는 후세 사람들은 만남과 이별 그리고 회재불우(懷才不遇)의 한을 주제로 지어진 주옥 같은 시를 맘껏 만나보게 되었으니, 남의 불행이 곧 나의 행복이라는 말은 이런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 즉흥적 권주가를 불후의 명작 시로 탈바꿈시킨 천재성

여러 만남의 과정에서 현종의 부름을 받게 되는 계기를 만들어준 사람은 누구라 딱 집어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그 중에서도 평생지기 원단구(元丹丘)는 도교(道教)에 빠져 있던 당 현종의 누이동생인 옥진공주(玉眞公主)를 수행하면서 이백을 당 현종에게 천거하도록 부탁한 인물이다. 오매불망 그리던 이백의 조정 입성을 가능케 한 일등공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원단구 하면 떠오르는 것이 후대에 의해 이백의 천재성이 가장 잘 드러난 절창으로 평가받고 있는‘將進酒(술을 권함)’라는 시이다.

<將進酒>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황하의 물이 하늘에서 내려와 힘차게 흘러 바다에 이르면 다시 오지 못하는 것을.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귀한 집 사람이 거울을 보며 백발을 서러워하는 것을.

아침에 푸른 실 같던 머리칼이 저녁에 눈같이 세어졌네.

인생이란 때를 만났을 때 즐거움 다 누려야 하니, 금 술잔이 빈 채로 달을 맞게 하지 마시게.

하늘이 내게 주신 재주 반드시 쓰일 곳이 있으니, 천금을 다 써버려도 다시 생겨나리라.

양을 삶고 소를 잡아 즐겨나 보세, 모름지기 한번 마시면 삼백 잔은 마셔야지.

잠부자, 단구생이여, 드리는 술잔을 그대들은 멈추지 마시게.

그대들에게 노래 한 곡 들려주려 하니, 나 위해 귀 좀 기울여 주시게.

흥겨운 음악과 맛있는 안주는 귀할 게 없으니, 오직 오래 취하여 깨어나지 않기만 바랄 뿐.

예로부터 성현들은 다 쓸쓸해하셨고, 오로지 술 잘하던 사람만이 그 이름을 남겼었지.

진왕은 그 옛날 평락궁 잔치 열고서, 한 말에 만 냥이나 하는 술을 마음대로 즐겼다네.

주인이 어찌 돈이 모자란다 말하시는가, 당장 술을 받아 오시게.

그대들과 대작하리라.

오화마와 천금의 가죽옷을 아이 불러 맛있는 술로 바꿔오게 하시게.

그대들과 더불어 만고의 시름 녹여보세.

君不見, 黃河之水天上來, 奔流到海不復回. (군부견, 황하지수천상내, 분류도해부복회)

君不見, 高堂明鏡悲白髮, 朝如靑絲暮成雪. (군부견, 고당명경비백발, 조여청사모성설

人生得意須盡歡, 莫使金樽空對月. (인생득의수진환,막사금준공대월)

天生我材必有用, 千金散盡還復來. (천생아재필유용,천금산진환복내)

烹羊宰牛且爲樂, 會須壹飲三百杯. (팽양재우차위낙, 회수일음삼백배)

岑夫子, 丹丘生, 將進酒, 君莫停, 與君歌壹曲, 請君爲我側耳聽. (잠부자,단구생 장진주,군막정 여군가일곡 청군위아측이청)

鐘鼓饌玉不足貴, 但願長醉不願醒. (종고찬옥부족귀 단원장취부원성)

古來聖賢皆寂寞, 惟有飲者留其名. (고내성현개적막 유유음자류기명)

陳王昔時宴平樂, 鬥酒十千咨歡謔. (진왕석시연평낙 두주십천자환학)

主人何爲言少錢, 徑須沽取對君酌. (주인하위언소전 경수고취대군작)

五花馬, 千金裘, 呼兒將出換美酒, 與爾同消萬古愁. (오화마 천금구 호아장출환미주 여이동소만고수)

이백이 숭산(崇山)에 있는 원단구 산거에 두 번째 들렀을 때 펼쳐진 술자리에서 원단구와 그의 벗 잠훈(岑勛)에게 술을 권하면서 즉흥적으로 내뱉은 시구(詩句)들이다. 원단구가 그 자리에서 받아 적고 나중에 이백에게 그 제목을 물어 정리한 것일 뿐인데 천하의 명작이 되었으니 그의 천재성에 어찌 감탄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백은 이 시에서 회재불우의 울분과 인생무상의 비애감을 표출하면서도 이를 녹이는 수단으로서 술의 효용을 나열하면서 읽는 이로 하여금 형언할 수 없는 기개와 희망 그리고 기쁨을 느끼도록 이끈다. 이 시의 ‘朝如靑絲暮成雪’은 세월이 빨리 흘러 어느새 노년에 이르게 된 것을 탄식하는 표현인데 후대에 의해 널리 회자되는 대표적인 명구가 됐다.

이백의 ‘將進酒’는 우리나라 가사문학의 대가이면서 최고의 애주가로 꼽히는 조선시대 송강 정철의 ‘將進酒辭’(한잔 먹세그려~로 시작)와 함께 특히 애주가들에게 긴 세월 깊은 사랑을 받아온 시다. 우리말로만 읽어도 걸림 없이 술술 읽히니 큰 소리로 낭송하면서 그 자연스러운 이끌림에 흠뻑 취해 보는 것도 좋겠다.

◆ 경정산을 유명하게 만든 옥진공주와의 인연

이백을 당 현종에게 천거한 인물이 옥진공주였다는 내용은 안후이(安徽)성 쉬안청(宣城)현 징팅산(敬亭山, 경정산) 아래에 위치한 그녀의 묘지석에도 나온다.

그녀는 오빠 현종과 고모들의 영향을 받아 도교를 좋아했으며 같은 도우(道友)였던 이백을 총애해 현종에게 천거했다 한다. 또한 이백이 조정에서 퇴출당하자 상소를 올렸으며 늘 우울해하다가 공주의 신분도 버렸다 한다. 그녀와 이백 간에 어느 정도의 사랑 이야기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옥진공주와의 러브스토리가 있었기 때문일까. 이백은 경정산을 자주 찾았고, 말년에는 ‘경정산에 홀로 앉아(獨坐敬亭山)’ 라는 불후의 명시를 남겼다. 산을 사랑하는 시인의 마음이 표현된 듯하지만 이면에는 현실에 좌절한 시인의 고독한 마음이 짙게 묻어나는 시이기도 하다. 절창 중의 절창이기에 글의 말미에 소개하는 ‘오늘의 시’로 등장시켜 본다.

< 獨坐敬亭山 >

뭇새들 높이 날아 사라져 버리고

한 조각 구름 한가로이 흘러가네

서로 마주 보아 물리지 않는 것은

오로지 경정산 너뿐인가 하노라

眾鳥高飛盡
zhòng niǎo gāo fēi jìn
중조고비진

孤雲獨去閑
gū yún dú qù xián
고운독거한

相看兩不厭
xiàng kàn liǎng bú yàn
상간량불염

只有敬亭山
zhī yǒu jìng tíng shān
지유경정산

참고로 이백의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명산 경정산은 높이가 해발 286m(우리나라 서대문구에 있는 안산 정도 높이)에 불과한 낮은 산이다.

"산이 명산인 것은 높아서가 아니고 신선이 살기 때문(山不在高 有仙卽名)"이라 설파한 유우석(劉禹錫)의 시(陋室銘)처럼 주선 이백이 없었다면 아마 이 산도 동네 사람들만 아는, 이름 없는 산으로 남아 있지 않았을까 싶다.

이철성 우리술문화원 향음 이사, 전 JP모간 상임고문

경정산에 있는 옥진공주 동상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재계 총수들, '트럼프 Jr' 만남 총출동 [서울=뉴스핌] 서영욱 남라다 김아영 조민교 기자 = 3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 사업 현안을 전달하고 정책적 협력을 요청하기 위한 행보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인사들의 면담은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의 한 구역에서 열렸다.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집무실이 있는 건물이다. 건물 주변에 많은 취재진이 대기 중이지만, 철저한 보안으로 인해 오고 가는 재계 인사들을 마주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30일 오전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 인근 커피 매장에서 포착된 김동선 부사장(왼쪽)과 김동원 사장 [사진=독자 제공] 이날 오전 한화그룹의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3형제가 트럼프 주니어를 만난 재계 인사 중 가장 먼저 언론에 포착됐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일관 생산단지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조성 중이다. 연간 8.4GW 규모의 이 시설은 약 13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현지 생산 비중을 70%까지 높여 미국의 자국 우선 조달 정책에 대응하고 관세 부담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사업에서도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 지분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오스탈은 앨라배마와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 소형 수상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롯데그룹도 트럼프 주니어와의 접촉에 나섰다. 신동빈 회장과 인도네시아 출장에 나섰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은 이날 오전 귀국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다. 롯데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에 보유한 바이오 공장을 중심으로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 바이오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임상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공장에서 첫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미국 내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설비 확충과 고객사 확보에 나선 롯데는, 신 부사장을 통해 트럼프 주니어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개별 면담을 가졌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신공장을 짓고 있다. 총 700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미국 시장 내 K푸드 수출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회장은 미국 내 식품 수출 시 애로사항과 관세 이슈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 이해진 네이버 의장,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날 "인공지능(AI)과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에도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정용진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만들어달라는 재계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곧장 정 회장 자택으로 이동해 만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면담이 끝나는 대로 이날 밤 출국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2025-04-30 14:24
사진
'김문수·한동훈' 최종 승자는 누구 [서울=뉴스핌] 박서영 김가희기자 =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결선 진출자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이름을 올렸다. 반탄(탄핵반대)파 김 후보와 찬탄(탄핵찬성)파 한 후보가 2파전을 겨루게 된 가운데 최종 1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3차 경선에 진출할 후보자 2명을 발표했다. 안철수·홍준표 후보는 탈락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가나다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결과를 발표하며 "과반 득표자가 없어 3차 경선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깊이 고민하시고 이번 투표에 참여해주신 존경하는 당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2강 후보에 진입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같이 마지막 경선을 하게 된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미래가 창창한 대한민국을 위해 한 후보께서 많은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인사를 전했다. 한 후보는 "어려운 대선 상황에서 김 후보와 제가 생각은 조금 다르지만 2인 3각의 마음으로 하나의 후보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서야 한다"며 "남은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이재명과 싸워 이기는 한 팀이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 후보는 경선 결과 발표 직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입당시켜, 3차 경선에 진출하는 2명의 후보와 '원샷 국민 경선'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그 부분은 조금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경선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도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다.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것이고 당에서도 생각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차차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 후보는 한 대행을 포함한 '원샷 경선'이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탈락한) 6명은 치열한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갑자기 (한 대행이)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한편 이날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한 안 후보는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을 막고 정권교체 이루는 데 제 힘을 바치겠다. 우리 당의 승리가 국민 승리고 역사의 승리"라고 소회를 전했다. 홍 후보는 이날 결선 탈락을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홍 후보는 "정치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되어 감사하다. 이제 시민으로,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 27∼28일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됐다. 당원 투표엔 76만5773명 중 39만4명(50.93%)이 참여했고 국민 여론조사는 5개 기관에서 6000명(역선택 방지 적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순위와 득표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결선에 진출한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누가 앞섰는지 알 수 없다. 이날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 2명은 오는 30일 양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다음달 1∼2일 양일 동안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거친 후 같은달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1명을 선출할 계획이다. seo00@newspim.com 2025-04-29 15:4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