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2016년 공공 빅데이터 신규 분석 과제 5개 추진
[뉴스핌=이홍규 기자]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이 보유한 공공 빅데이터로 잠재적 사회취약계층을 찾아내 지원하는 사업이 올해 추진된다.
![]() |
<사진=행정자치부> |
행정자치부는 29일 정부 3.0 핵심과제인 '2016년 공공 빅데이터 분석사업'을 통해 신규 과제 5개를 선별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생활밀착형 문제 해결에 나선다고 밝혔다.
올해 과제로는 ▲실시간 국민관심질병 예측서비스(건강보험심사평가원·질병관리본부) ▲잠재적 사회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및 자립지원(남양주시·국민연금공단) ▲국민참여형 어린이안전 및 교통사고 원인분석(경기도·경기도교육청) ▲민원처리시간 단축 등 공공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행자부·국토부) ▲고용지원금 부정수급 방지(고용노동부·한국고용정보원) 5가지를 선정했다.
먼저 실시간국민관심질병 예측서비스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청구정보, 의약품 처방조제 정보 등에 기상청 기상·기후정보를 더해 감염병, 계절성 질병의 위험도 예측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국민연금공단과 지방자치단체 데이터를 이용해 사회복지사들이 알지 못하는 사회취약계층을 파악해 일자리 등을 지원하는 사회취약계층 일자리·자립서비스도 추진된다.
어린이들이 많이 오가는 등하굣길 등의 안전사고, 교통사고 위험지역 분석모델을 제시해 어린이 안전정책 대안도 마련한다. 민원인의 공공서비스 신청 이후 처리데이터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국민 만족도를 높이고 부정수급자·사업장 정보 등을 토대로 실업급여·고용지원금의 부정수급을 방지하는 사업도 마련할 예정이다.
행자부 전성태 창조정부조직실장은 "다양한 공공 빅데이터 분석과제를 통해 국가 현안 및 사회적 이슈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이와 함께 활용도가 높은 공공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표준모델을 정립해 지속적으로 보급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홍규 기자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