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점포 반대' 보험사, 비지주사 은행과 '짝짓기' 탐색전
[뉴스핌=노희준 전선형 기자] 금융회사 복합점포에 보험사 입점이 허용되면서 '은행+증권' 복합점포를 하고 있는 우리은행 등 비지주계열 은행과 보험사의 결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장 우리은행 등과 결합할 보험사가 나오긴 쉽지 않지만, 업권의 특성상 보험사와 은행권의 물밑접촉은 시간문제라는 관측이다.
![]() |
<자료제공=금융위, 금감원> |
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우리은행처럼 비지주 소속 은행이 '은행+증권' 복합점포에 보험사 입점을 추진하면 금융지주사에 준해 허용할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리은행이 다른 보험사와 엮어 복합점포에 보험사 입점을 추진하면 지주회사에 준해서 3개를 허용해 줄 수 있다"며 "복합점포에 계열사 보험사와의 결합만 가능하다는 규정은 없다"고 말했다.
이번에 허용된 복합점포 방안으로 구현될 수 있는 복합점포 형태는 크게 3가지다. 금융지주 계열 '은행+증권' 복합점포에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가 각각 들어가는 경우, 생보나 손보 중 한쪽만 들어가는 경우, 우리은행이나 IBK기업은행과 같이 비지주계열 '은행+증권' 복합점포에 보험사가 결합되는 경우다.
세 경우 모두 결합되는 보험사는 계열사 보험사든 외부 보험사든 제한이 없다. 다만, 신한지주, NH농협금융지주, KB금융지주 등 지주계열 복합점포는 시너지 차원에서 계열사 보험사와 결합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우리은행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과정에서 우리아비바생명(현 DGB생명)을 농협금융에 우리투자증권 등과 묶어 팔아 '은행+증권+보험' 복합점포를 하려면 다른 보험사를 찾아야 한다.
우리은행은 현재 삼성증권과 '은행+증권' 복합점포를 3곳 하고 있는데, 외부 보험사와의 결합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복합점포 담당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아직 검토한 바는 없지만, 보험사 복합점포가 가능해졌으니 시너지가 어떻게 날 수 있는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재 보험업권에서는 우리은행과의 결합에 선뜻 나서겠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보이는 보험사는 없다. 이런 행태가 복합점포에 반대해 왔던 기존 행위와 배치되기 때문이다. 한 전업계 보험사 관계자는 "여전히 복합점포 내 보험사 입점에 반대 입장이라 우리은행에 들어간다는 것은 이런 의지에 반하는 행위"라며 "현재로선 결정할 단계가 아닌 거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결국 시기의 문제일 뿐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당장 손바닥 뒤집듯 '복합점포 반대' 입장에서 선회할 수 없지만, 4대 은행 등 주요 은행으로 묶이는 우리은행의 위상과 은행권 경쟁체제, 금융의 융합 트렌드 등을 고려하면 비지주 은행과 보험사와의 결합은 '예정된 흐름'이라는 전망이다.
다른 보험사 관계자는 "여전히 복합점포 내 보험사 입점에 반대 입장"이라면서도 "차후 (보험사 복합점포의) 안정적인 운영이 이뤄지고 2년 후 복합점포가 대세가 된다면,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생보사보다는 방카슈랑스(은행의 보험판매) 채널로 판매가 불가능한 자동차보험을 팔 수 있는 손보사가 비지주 은행의 복합점포와 결합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 생보사 상품은 변액연금을 제외하고는 현재 방카 창구로 파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보험사 관계자는 "요즘 시대는 빠르고 단순한 상품을 추구하고 있어 복합점포에서 승산이 있으려면 생보사보다는 손보사가 수월할 것 같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