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양창균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23일 개최된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과 삶의 질 향상 등에 필요한 5대 분야 30개 기술을 선정해 향후 10년간 기초·원천기술개발에서 사업화까지 기술 성장 전주기를 포괄하는 범부처 차원의 종합적인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을 심의, 의결했다.
미래부는 지난해 7월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을 통해 제시된 120개 국가전략기술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수립 추진단‘(단장 민경찬 연세대 교수)을 구성, 국가전략기술의 중요도와 범부처 협력 필요성 등을 고려해 30개 국가중점과학기술을 선정한 뒤 각 기술별로 전략로드맵을 수립해 왔다.
특히 이번 전략로드맵 수립에는 미래부 등 15개 부처에서 추천한 산학연 민간전문가와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과 예산전문위원회 위원 등 205명이 대거 참여했고 공청회와 연구기관 및 단체, 산업계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했다.

이번에 확정된 전략로드맵은 30개 기술별로 미래 환경변화 전망과 미래이슈·수요도출, 산업·시장 현황 및 전망, 기술현황·경쟁여건 분석을 추진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10년간 단계별 기술확보 전략뿐만아니라 초기시장 지원방안 등 실용화·사업화 전략, 연구개발 인프라와 표준화·규격 등 법과 제도적 지원 및 개선방안 등 전방위적인 대응전략을 제시했다. 이러한 접근은 기술적 접근만 강조했던 과거 로드맵과 차별화된 점이다.
전략로드맵은 매년 정부 R&D사업의 투자방향을 설정하고 연간 18조원에 육박하는 정부R&D예산의 배분·조정에 연계·활용함으로써 국가중점과학기술의 전략적·체계적인 확보와 함께 R&D사업의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전략로드맵은 지난 10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심의·확정된 '2015년도 정부R&D 투자방향 및 기준'의 주요 기준으로 이미 반영되어 매년 6월로 예정된 각부처의 R&D 예산요청과 연계된다. 범부처 협력 필요 분야를 대상으로 수립했기 때문에 향후 다부처공동기획사업의 발굴·추진시 상위정책으로 우선적으로 반영된다.
미래창조과학부 박항식 창조경제조정관은 "이번 전략로드맵은 R&D관련 부처와 국내 최고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다함께 협력해 향후 10년간 우리 과학기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며 "전략로드맵을 바탕으로한 범부처 협력적 기술개발을 통해 우리국민들이 꿈꾸고 있는 보다 풍요롭고 안전하며 편리한 삶이 가능해지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양창균 기자 (yangck@newspim.com)